이방인 세계문학의 숲 20
알베르 카뮈 지음, 최수철 옮김 / 시공사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상, 전철, 일, 전철 그리고 취침. 매일 같은 리듬으로 반복되는 월요일부터 금요일. 그러다 어느날 문득 떠오르는 왜?, 무엇 때문에?라는 질문. 더 나아가서 언젠가는 반드시 죽게 된다는 진리와 맞대면 그리고 두려움. 나를 포함한 누군들 이런 생각 한 번 안해봤을까? ‘시지프 신화‘에 이어서 ‘이방인‘에서 다시 한 번 살아야 하는 이유를 찾는다.

대학 때 두어 번, 몇년 전 서너 번, 그리고 영문으로도 두어 번. 읽어도 깊히 이해할 수 없었던 글이 결국 세월의 힘 덕분에 친숙하게 느껴지게 된다. 심지어는 이른 아침부터 카페에 앉아 궁상맞게 훌쩍이기도 했으니. 최근 어떤이는 이방인이 어려운 것은 한 저명한 번역가(김화영 교수)의 오역 탓이라 주장하던데, 그런 그분이 정작 이방인을 쉽게 이해했다면, 짐작컨데, 아니 확신컨데 덜 읽었고 덜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이번 책의 역자인 최수철씨도 수려한 번역과 달리 해설은 얼토당토하지 않지 않은 점에 미루어 봤을 때 말이다. ˝우리가 편견을 버리고 실존 그 자체의 고통과 행복을 받아들이며 우주의 진실에 다가설 때, 우주는 우리에게 다정하게 다가온다(190쪽)˝라니. 부조리에 대한 개념적 정리도 되지 않고도 - 103쪽 주석: 카뮈는 자신의 적품 세계에 대한 계획을 설명하며 그 첫째로 부정을 들고- 이 정도의 번역이 가능한 점에서 원작의 훌륭함을 새삼 느끼게 된다.

카뮈는 사람을 옥죄는 조건, 이를테면 제도, 습관 및 관념 등등, 더 나아가 죽음이라는 숙명을 마주할 때 진정 성실한 인간(부조리의 인간)은 어떠한 행동을 보여주어야 하는지, 그 조건과 태도의 전형을 뫼르소를 통해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은 사실 ‘시지프 신화‘에서 시종일관 언급되어 있는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바로 그때, 그리고 몇 달 만에 처음으로 나는 나 자신의 목소리를 똑똑히 들었다. ...... 그렇다, 출구는 어디에도 없고, 감옥 안에서의 저녁나절이 어떠한지 아무도 상상할 수 없는 것이다˝ (105쪽)

˝지금 내 관심사는 나를 옥죄고 있는 이 기계장치에서 벗어나는 것, 이 어찌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탈출구가 있을까 궁리하는 것이다˝ (137쪽)

부조리한 조건과 마주칠 때 인간은 맞서거나 회피하게 될터인데 그중 회피(물리적 또는 정신적 자살, 위락)하는 인간이란 부조리가 존재하지 않은 것 같은 느낌만으로 자위하는 꼴을 보이게 된다. 실상 그러한 조건은 엄연히 존재하고 있는데도 말이다. 반면 성실한 인간은 그 부조리를 부둥켜잡고 끝까지 드잡이를 하는 존재이다. 죽음이라는 숙명 앞에서 오히려 행동의 자유를 만끽하고 끝까지 자신의 가능성을 소진해나가는 정열. 요컨대 경멸로써 숙명을 극복해나가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기 위해서는 부조리한 조건들을 끝까지 직시하는 것이며 절대 타협(부정을 포함해서)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이 점이 역자가 이해 못하는 결정적 부분이다)

˝지금까지 내내 이 부조리한 삶을 살아오는 동안, 내 미래의 저 밑바닥으로부터 어두컴컴한 기운을 머금은 바람이 아직 오지도 않은 세월을 가로질러 내게로 불어오고 있었고, 그 바람이 내가 살아온 더 실감난다고 할 수 없는 그 세월 속에서 내게 주어진 모든 것을 닥치는 대로 무의미한 것으로 만들어버렸지요˝ (153쪽)

˝참으로 오랜만에 나는 엄마를 생각했다. 엄마가 왜 말년에 ‘약혼자‘를 얻었는지, 왜 새로이 시작하려고 마음을 품었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다. ...... 죽음에 임박하여 엄마는 해방감에 젖어 모든 것을 다시 살아볼 준비가 되었다고 느낀게 분명했다. 아무도, 그 누구도 엄마의 운명을 슬퍼할 권리가 없었다. 그리고 나 또한 모든 것을 다시 살아볼 준비가 되었다는 느낌이 들었다˝ (154쪽)

˝모든 게 완성되게 하기 위해, 그리고 내가 덜 외롭다고 느끼기 위해 내게 남은 소원은 단 하나, 내가 처형당하는 날 구경꾼들이 많이 몰려와서 증오의 함성으로 나를 받아주었으면 하는 것 뿐이었다˝ (15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