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노 사피엔스 - 스마트폰이 낳은 신인류
최재붕 지음 / 쌤앤파커스 / 2019년 3월
평점 :

이 책을 읽으면서
조카가 항상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하는 것이 조금 못마땅해서 혼냈던 것이 생각났다.
책의 저자의 말대로
그들은 그들의 세상에서 사는 신인류라는 것을 조금은 이해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었다.
아무리 아닌 척해도 나
역시도 책 속에 등장하는 기성세대 중 한 명이라는 사실은 변하기 않는 거 같다.
새로운 것이 등장하면
부정적인 면부터 찾는 것은 스스로 기회를 잃어버리고 위기에 처하는 어리석은 짓임에도 자신들이 모른다는 이유로, 사실은 두렵다는 이유로 외면하는
것이라는 저자의 글을 읽고서야 이해가 갔다.
일단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한 포노 사피엔스의 의미부터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할 거 같다.
'포노 사피엔스' 는
현생인류이기도 한 호모 사피엔스(지혜로운 인간)를 빗대어 표현한 '지혜가 있는 폰을 쓰는 인간' 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저자의 글을 읽다 보면
대한민국의 많은 규제들이 우리의 기회를 놓치게 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한 세기 전에 일본이
서구 문명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중국을 앞지르는 발전을 이루고 전쟁까지 서슴지 않고 일으킬 정도로 국력을 키운 것에 비해 조선은 쇄국정책으로
결국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한 역사가 있음에도 왜 실수를 반복하는 것일까 하는 아쉬움도 든다.
특히 대한민국은
어마어마한 인재들을 이미 가지고 있음에도 각종 규제들로 그들의 발전을 방해만 하고 있으니 우리나라보다 한참이나 늦으며 기술력도 낮았던 중국이
이미 우리를 초월하고 있고, 미국과 일본 역시도 국력을 기울여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실정인데 여전히 부작용만을 강조하는 것은 시대착오라는 것은
틀림이 없는 거 같다.
손안에 있는 작은
스마트폰 하나로 일상부터 업무적인 부분까지 모든 것이 해결하는 포노 사피엔스는 호모 사피엔스로서는 이해하기 힘든 존재일
것이다.
이런 것들은 긍정적인
면보다 부정적인 면에 더 민감한 우리 사회의 특성이라는 글에 조금은 씁쓸해진다.
카카오 택시로 인해
기존의 택시 업종 종사자들의 반대를 한 것을 기억한다.
하지만 이와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해서 이미 세계의 시장을 장악한 기업이 있으니 아쉽기만 하다.
기회와 위기가 혁명의
두 얼굴이며, 기회를 무시하면 위기만 남는다는 것을 역사를 통해 충분히 겪었음에도 결과적으로 우리 사회는 한 발도 발전을 하지 않은 거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삼성의 갤럭시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이라는 점도 우리나라에 더없이 유리한 조건이라는 점은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스마트폰을 자신의 몸의
일부로 여기는 포노 사피엔스들의 세상에서 삼성을 세계 최고의 인공 장기 판매회사라고 표현하는 것은 괘나 타당해 보인다.
우버를 예로 부분도
그렇지만 세계의 기업들이 포노 사피엔스들을 위한 세계 시장 경쟁력 확보에 여념이 없는데 국내의 경영진들은 근본적인 혁신을 하지 않고 그저 현실
방비만 한다는 점은 앞으로의 현실을 생각한다면 전망을 더욱 어둡게 한다.
방탄소년단이 대규모
기획사도 아닌데 지금의 위치에 오르게 된 방법들을 보니 손안의 작은 스마트폰이 얼마나 큰 힘을 발휘하는지 다시 한 번 더 잘 알 수
있었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한 이후 한글을 이렇게 많이 세상 사람들에게 전파한 영웅이 바로 방탄소년단의 팬클럽이라고 하니 정말 팬덤의 위력은 상상이상으로 대단한 것
같다.
게임 중독을 보는
관점도 미국이나 중국에서는 중독이 일어나면 그건 스포츠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거기에 투자를 하는데 우리는 규제를 하기에
급급하다.
세계의 강대국과
대기업들이 나서서 발전시키기에 여념이 없는데 힘도 없는 작은 나라가 혼자서 규제를 하고 있는 모습은 아무리 생각을 해봐도 어이가 없는
상황이다
'차이는 기술이 아니라
경험이다' 새로운 서비스를 경험한 포노 사피엔스들은 이제 자신들의 표준 자체를 바꾸고 있다는 부분은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지난겨울 보러 갔던
마르셀 뒤샹의 '샘' 눈에 보이지 않는 차이, 앵프라맹스의 힘을 느낄 수 있었던 경험이었다.
세계의 시장을 지배하는
힘을 가진 팬덤의 기초를 앵프라맹스로 본 저자는 그 중요성을 강조한다.
대한민국이 유니세프의
원조를 받다가 원조를 제공하게 된 유일한 국가라는 점은 처음 알았다.
이 대단한 성과를 이룬
것이 우리의 기성세대들이라는 팩트를 정치 논리로 저평가되고 있다는 점은 저자의 글대로 안타까운 점이다.
독일의 아디다스 공장의
이야기는 이미 알고 있었지만 이런 서비스를 온디맨드라고 부른다는 것은 처음 알았다.
모바일과 같은
정보통신기술 인프라를 활용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것을 원하는 때에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경제활동을 일컫는 표현이라고 한다.
그저 열심히 공부해서
좋은 대학에 들어가기만 하면 성공이라고 부를 수 있었던 시대는 이미 지나갔다.
유튜브를 통해서 이제는
스스로를 브랜드로 만들어내고 그 팬덤을 기반으로 어마어마한 수입을 얻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심심치 않게 듣게 되는 것도 또한 지금부터의 세상이
어떤 모습일지 보여준다고 할 수 있을 거 같다.
'성공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지만 실패에는 특히 더 분명한 이유가 있다.' 이 말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애자일 경영' 고객
접점에 있는 소규모 팀에게 경영의 전권을 부여하고, 고객 반응에 따라 빠르게 움직이며 대응하는 시스템이라고 한다.
36억 명의 인류가
누군가의 지시가 아닌 스스로 선택한 스마트폰 문명은 앞으로도 계속 발전을 거듭할 것이고 그 안에서 살아남는 방법을 터득하는 것이 현재를 사는
인류에게 주어진 운명일 것이다.
물른 부작용도 많다.
하지만 부작용의 뒷면을
봐야 하며, 무의식적으로 부작용이 떠오를 때마다 그만큼의 혁신성은 무엇이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는 저자의 말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했다.
또한 혁신은 개선이
아니라 모든 것을 바꾸는 일이라는 의미도 제대로 파악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업만이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