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이 되고 싶은 화가 장승업 - 한국편 3 그림으로 만난 세계의 미술가들 한국편 3
조정육 지음 / 미래엔아이세움 / 2002년 1월
평점 :
품절


장승업의 그림은 호쾌하면서도 푸근하다. 그의 여러 작품에서는 조선후기 민화의 원형을 발견할 수 있어서 기쁘기 한량없다. 임권택 감독의 취화선으로 대중에게도 친숙한 이름이 바로 오원 [장승업]이다. 필자의 기억이 가물가물하기는 한데, 어떤 유명한 조각가에게 한 기자가 질문을 했다. 도대체 어떻게 해서 이런 뛰어난 작품을 다듬어 낼 수 있습니까? 그러자 그가 답하길, 나는 조각을 하는게 아니고 그 안에 담겨진 형성이 드러나도록 불필요한 부푼을 잘라내는 것입니다. 장승업의 화풍도 이와 같다. 그는 자기 이름밖에 쓸 줄 모르는 문맹이었으나, 붓을 쥐기만 하면 한 치의 망설임도 없이 그야말로 일필휘지로 걸작을 드러나게 만들었다. 정식으로 그림을 배운적도 없는 이가 말이다. 달래 천재가 있는 것이 아니다. 뭐라고 비유를 할까? 포토샵의 마스크 툴과 같다. 가면을 벗으면 실체가 드러나듯이, 장승업은 하얀 도화지를 걷어내어 그 안에 담겨진 진실한 모습을 드러나게 만들었다.


한편, 장승업이 화가로서 이름을 떨칠 수 있게 된 것은, 이응헌이라는 재력가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었다. 그는 역관 출신으로 중국의 많은 예술작품을 소장하고 있었는데, 조실부모하고 고아로 자라난 장승업이 이때 그의 집에서 하인 비슷한 삶을 살고 있었다고 한다. 우연히 그의 재능을 알아본 이응헌이 장승업의 후원자가 되어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고 한다. 이렇게 해서 그의 걸작들이 후대에 남게 된다. 이후 장승업의 이름이 널리 알려지면서 고종의 명령으로 궁궐에서 그림을 그리는 관직을 받았는데, 무엇에도 얽매이기 싫어하는 그가 이를 박차고 뛰어나가는 장면이 바로 취화선 포스터다. ㅎ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