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분 BOOn 7호 - 2015년
RHK일본문화콘텐츠연구소 편집부 엮음 / RHK일본문화콘텐츠연구소(월간지)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일본은 잘 알고 있는 것 같으면서도 늘 새로운 것들이 튀어 나오는 곳인 것 같다.
일본문화에 대해 내가 알고 있는 것이 무엇이 있는지 잘 떠올려 보았다.
일단 책콩 카페 안에서도 인기가 넘치는 ‘히가시노 게이고’나 ‘무라카미 하루키’같은 작가들에 대한 생각도 들었다. 또 일본 애니메이션도 생각이 난다. ‘미야자키 하야오’같은 애니의 거장도 생각이 난다. 그리고 자주 보는 일본 드라마와 기무라 타쿠야, 아베 히로시 같은 일본 배우들이 떠오른다.
그리곤 그닥 확실하게 떠오르는 것이 없다. 가부키 화장이나 사쿠라....
이 책 ‘BOON'은 일본의 문화를 짤막하게 나누어 여러 가지로 보여주고 있다. ’BOON'은 유쾌한 이라는 뜻을 가진 말로 일본어인 문화의 분카에서 온 분 이라는 발음만을 가져온 말이란다. 그래서 ‘BOON’은 유쾌한 일본문화읽기 라는 의미란다.
뭔가 리듬이 딱 들어 맞는 느낌이다. 이번 7호에서는 ‘아베 가즈시게’ 작가의 특별 인터뷰가 있다. 아베 가즈시게 라는 작가는 잘 몰랐는데 질문과 작가의 대답이 확실하게 정리되 있어 보기 편했다. 새로운 일본의 작가 리스트에 추가를 시켜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특집으로 만들어진 ‘투어리즘의 정치학’은 정말 재미있었다. 투어리즘의 기본, 수학여행이 생기게 된 계기를 소개하고 이유도 따져 보는 내용이 있다. 일본의 도쿄 여행이나 온천여행에 관련한 투어. 가벼운 내용이 아니라 실제로 사례를 들어가면서 학문적인 접근과 재미로서의 접근을 함께 하고 있어 흥미롭다.
처음에는 가벼운 잡지식으로 만들어진 책인 줄 알았는데 일본의 문학적인 부분에 포인트를 많이 두고 만들어진 책인 것 같아서 반갑다. 드라마나 예술적인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책이나 작가에 관련한 내용으로 심층적인 분석과 내용을 풀어나가는 부분이 있어
약간 전문적인 느낌도 들지만 읽으며 좀 더 일본의 문화를 공부하고 알아가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정말 잘 어울리는 내용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