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컬렉터처럼, 아트투어 - 아트 컨설턴트와 한 권의 책으로 떠나는 1년 365일 전 세계 미술 여행
변지애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3년 12월
평점 :
제목 그대로 수집가의 입장에서 미술을 소개하는 내용이다.
때문에 이전에 보았던 미술 관련 서적과는 다른 느낌을 주었다.
아무래도 상업성이 동반되기 때문에 예술적 가치보다는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앞선다는 느낌을 받았다.
따라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작품을 감상하기를 원하는 독자는 실망할 수도 있다.
책은 모두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우리나라 미술 시장 현황을 살펴본다. 확실히 우리나라 미술 시장의 위상이 높아졌다는 것을 새삼 느꼈다.
2장은 국내를 대표하는 미술인 10명을 소개한다. 책 자체가 현대미술을 다루기 때문에 여기에 등장하는 인물들도 현재 생존해 있거나 최근 까지 활동했던 작가들 위주로 나온다.
때문에 과거 교과서에 배운 미술에 머물러 있는 사람들은 생소 할 수 있다.
3장은 외국 대표 10인이다. 데미안 허스트 같은 잘 알려진 작가도 있지만 처음 듣는 이름도 많았다. 특히 이 책에는 일본 작가들이 자주 나오는데 한일 감정 때문에 그동안 일본 미술을 무시한 경향이 있어서 다소 어떨떨했지만 예술은 예술의 세계속에서 만나야 한다는 생각을 했다.
4장은 세계 예술 도시를 순례 하는데
책의 절반 이상을 여기에 할애하고 있다
1년을 12개월로 쪼개어 모두 12개의 지역을 방문하며, 한국도 들어가 있다.
아무래도 현대미술이 중심이라 루브르나 오르세 같은 유명한 장소는 나오지 않는다.
소개하는 미술관들은 소장하고 있는 작품에 앞서 건물자체가 예술인 경우가 많다. 작가도 작품 해설 보다는 미술관 상태나 환경에 더 관심을 많이 보인 듯 하다.
여기까지 책의 대략적인 책의 내용이다.
현대 미술에 눈을 떠보려고 종종 미술관에 드나들지만 여전히 예전이나 지금이나 별차이가 없다.
작품을 보면서 눈물을 흘리거나 환희에 차있는 관람객을 볼 때면 같은 인생을 살면서 내가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다는 생각에 시기심이 발동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 책을 보면서 뭔가 놓치고 있는 것이 돈이 아닌가라는 엉뚱한 생각이 들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무엇이든 돈과 연결이 되어 있기 때문에 예술 또한 돈과 무관할 수 없을 것이다.
문제는 모든 사람이 똑같이 예술을 향유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당장 먹고 사는데 바쁜 사람들에게 예술은 그림의 떡이다.
그리고 이 책에서 등장하는 작품값의 액수는 100억,1000억 단위다.
콩나물 값 몇 백원 더 주고 산 걸 원통해 하는 서민들에게 있어서 이쪽은 전혀 다른 세상이다.
마치 중세 귀족들의 풍경을 보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자본주의가 예술까지 갖은자의 전유물로 만들어 간다는 인상을 풍긴다.
예술이 부의 도구로 완전히 전락해 버리면 그때는 예술의 생명도 끝나리라 생각한다.
하지만 그렇게 되지는 않을 것이다. 예술은 인간 본연의 속성이고 따라서 예술은 영원할 것이다.
미술에 대해서 여러가지 많은 생각을 갖게 했던 책이다.
일단 미술에 어느정도 지식이 있는 사람이 읽어 보면 좋을 것 같다.
이 서평은 출판사 서평행사에 참여하여 제공받은 책으로 자유롭게 작성했음을 알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