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젊은 여성 과학자의 초상 - 편견과 차별을 넘어 우주 저편으로 향한 대담한 도전
린디 엘킨스탠턴 지음, 김아림 옮김 / 흐름출판 / 2023년 12월
평점 :
이 책은 미국 과학계의 유명한 학자의 소설같은 자서전이다.
행성 과학자의 이야기라 우주를 배경으로 거시적인 이야기가 펼쳐질거라고 예상했지만 반대로 내면에서 전개되는 미시적인 사건들을
섬세하게 그렸다.
위대한 업적을 남긴 인물이지만 어린시절 그녀의 삶은 순탄치 않았다.
오히려 보통 사람들보다 더 무거운 고통의 시간을 보냈다.
배우들의 화려한 무대 뒤에 가려진 은밀한 부분들이 드러나듯 그녀의 암흑 같았던 지난 시간들이 그녀의 고백을 통해 밝혀진다.
1부는 작가가 태어나서 과학계의 중요 인물로 자리를 잡을 때까지 가족을 중심으로 다사다난했던 과거의 사건들을 그려내고 있다.
2부도 가족사가 나오지만 1부와 다른 점은 첫 남편인 커티스와 헤어지고 터너와 새로운 인생을 시작하였다는 것과 업무에 대한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며, 그리고 그동안 이곳저곳 전전하던 끝에 MIT에서 정식 교수 자리를 얻게 되는 이야기가 나온다.
3부는 업적의 메인이라고 볼 수 있는 ' 프시케 프로젝트' 시작과 탐사선을 발사하기 몇 달 전까지의 힘든 여정이 수록되어 있다. 2부에서도 지질 탐사를 위해 여러지역을 다니며 업무와 관련된 이야기가 나오지만 가정사가 많이 나오는 반면에 3부는 주로 소행성 탐사 프로젝트에 연계된 사건들을 중심으로 쓰여져 있다.
주요 메시지는 남성이 지배하고 있는 과학 분야에서 젊은 여성이 열악한 환경을 헤치고 위대한 업적을 이룬다는 스토리다.
당시 과학계에서 여성의 위치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작가가 지도교수 집에 방문 했을 때 그집 어린자녀가 그녀에게 "당신은 성공하지 못할거야 여자이니까" 라는 말을 하는 장면이다.
어쩌면 이 말을 듣고 더 강한 결심을 했는지도 모른다.
더구나 어머니로부터 반복적으로 들었던 말이 여자아이를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너를 낳고 울었다는 이야기와 여성은 조용히 남성에게 봉사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어릴 때 부터 듣고 자라왔기 때문에 마음에 충격은 더 컸을 것이다.
이후부터 그녀는 주어진 업무에 박차를 가 했고 남성도 이루기 힘든 놀라운 성과들을 달성하며 학계의 큰 발자취를 남기게 된다.
그녀의 성공비결은 인간적인 복수심도 있었겠지만 긍정적인 차원에서 다음 세가지를 찾아 볼 수 있다.
첫째는 인생의 가치와 의미를 추구하는 마인드가 있었다. 그녀가 지질학을 공부하게 된 배경은 인류 종말에 관한 한스 테베의 강의를 듣고 나서 부터라고 했다. 그것을 기점으로 화성 너머로 나아가는 프로젝트 기획하는 기반이 되었다.
둘째는 연구 방법에 있어서 질문을 잘 활용했다. 그녀는 대학시절 지도 교수로부터 질문과 관련하여 크게 수치심을 느끼고 창조적이고 생산성있는 질문을 통해 프시케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간다.
세번째는 팀을 이루어 일하는 방식이다. 그녀는 팀의 습성을 바꾸고 사람들을 조직하는데 많은 힘을 기울였다. 작업을 할 때 개인의 역량보다는 협업의 정신을 강조했다는 점이다.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이야기의 흐름이 사건 중심이라기 보다는 주인공의 내면에 흐르는 심리와 갈등을 주로 다루고 있어서 전체 분위기가 차분하다.
소설 같지만 실제 인물의 실재 성장 과정을 기술하고 있어서 사뭇 다른 느낌을 준다.
천문학에 대한 상식이 있는 독자라면 상상의 질이 다르기 때문에 더 흥미롭게 읽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이 서평은 출판사 서평행사에 참여하여 제공받은 책으로 자유롭게 작성했음을 알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