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할 권리 책고래숲 8
최준영 지음 / 책고래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이 저항적인 느낌이 든다. 선택적 가난이라는 말도 있지만 그것도 왠지 있는자의  오만 같기도 하고...
가난이라는 말에 붙는 수식나 서술은 모두 사치스럽다는 생각이 든다.

가난은 장식품이 아니고 어떤 말로 설명하기도 마땅치 않다.
매일 생존의 문제와 싸우는 사람들은 가난을 묵상하지 않는다.

세상에는 타인의 가난을 이용해 부를 축척하거나 명예를 쌓는 사람들도 많다. 정부지원금도 받아가고 공모 사업비도 따낸다.
그들은 가난을 개인의 문제로 인식시키고 사회분위기도 그렇게 조성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가난에 접근 해야 하는가
제목이 맘에 안들어도 이 책에 눈길이 가는 것은 온 세상이 부와 관련된 책으로 홍수를 이루고 있는 상황에서 가난을 돌아 볼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가난할 권리라는 말을  좀 순화시키면 가난한 사람도 사람이라는 뜻이다.
교회에서 조차 옷 잘 입고 좋은 차 타고 오면 특별한 대접을 받지만 허름한 옷에 초라한 모습으로 들어가면 최소한의 인간 대접 받기도 어렵다.
교회도 이러한데 하물며 세상에는 어떠하랴.

가난으로 상처 받은 사람들은 마음의 문이 닫혀있다. 그들의 마음을 연다는 것은 쉽지 않다.
작가는 오래동안 이렇게 사회에서 쇠외받고 무너진 사람들을 재건하는데  
힘써 왔다.

그동안 있었던 많은 사연들이 이 책에 녹아 있다. 추상적인 이야기가 아니라 현실 이야기라 상황이 눈에 선하고 실감이 난다.
책 제목과 달리 재미도 있고 감동도 준다.

저자에 대해서는 이번 책을 통해 처음 알았다. 때문에 아직은 그에 대해 쉽게 판단하고 싶지는 않지만 책 내용을 보면서 호감을 갖게 되었다.

저자는 누가 거리에서 쓰러지면 병원에서 보호자 역할을 했고 노숙인이 죽으면 상주가 되기도 하면서 " 어디로 갈지 모르겠거든 일단 가라" 는 말을 모토로 삼고 살았던 실천가이다.

기울어진 운동장 운운하며 불공정과 가난에 대해 분노하면서도 탁상공론만 일삼는 나 역시 작가의 삶 앞에서 한 낱 가난을 이용하는 오만한자의 무리 중에 하나라는 내면의 목리를 듣는다.

다음은 노숙자 인문학 강좌  MT에서 어느 노숙자가 고백한 말이다.
" 인문학의 학문적 의미는 모릅니다. 다만 내기 생각하는 인문학이란 술 취해 거리에 쓰러져 있던 나를 일으켜 세워주고 밥도 주고 지식도 주고 무엇보다 생각이라는 걸 하게 해 준게 인문학입니다"

가난에 대해 여타저타 말하지 말고 진정으로 간난한 자들을 위해 뭔가를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새삼스레 깨닫는다.

이 서평은 출판사 서평행사에 참여하여 제공받은 책으로 자유롭게 작성했음을 알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