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들이 깨달아야 할 중요한 사실은, 교사로서 학문적인내용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건 바로 아이들의 문해력을 높이는데 필요한 일이라는 점이다. 왜냐하면 아이들을 훌륭한 독자로만드는 것 중 하나가 학문 전반에 걸쳐 폭넓은 지식을 갖게 하는것이기 때문이다" - P1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질환이 반드시 불행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 P93

진심을 다해 놀고 울고 웃을 수 있다면, 그 사람은 건강하다고 말하고 싶다. - P104

자신이 어떤 사람이든 자신으로 살자. - P158

우리가 할 일은 느낌을 바로잡는 것이 아니라, 그저 있는 그대로 인정해 주는 것이다. - P161

우리는 자기가 하는 일에 완벽해지려고 애쓰지 않아도 된다. - P164

결국 관계 안에서 문제의 주범은 자기 욕구를 인지하지 못하는 것이다. - P188

치매는 느낌이 현실에 더 충실하여, 기억은 현실을 왜곡하고 부정확하게 전달한다. - P192

슬픔을 그대로 느끼지 않고 생각하려 든다면 고통을 더할 뿐이다. - P214

유쾌한 치매관계를 위한 요소, 적절한 접촉, 상상력 한 자밤, 그리고 큰 마음 - P230

환자의 현재 ‘장소‘나 시간에 함께하라. 환자가 언제 어디에 있든 그곳에서 그가 누리는 기쁨에 함께하라. - P233

공감적 경청의 목적은 치매를 겪는 사람이 그런 치료를 받는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가 자기 말에 귀 기울여 주는 것을 느끼는 것이다. - P248

치매를 겪는 사람들은 반복을 통해서, 시도하고 또 함으로써, 배운다. 치매 있는 사람에게는 질문과 의견 혹은 문구를 반복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 것이 하나의 재능이다. - P283

그들의 세계에 응할 때는 쾌활하고 장난기 넘치는 태도가 필요하며 어떠한 대응도 판에 박힌 것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P285

연결은 말이 아니라 한 사람이 다른 시남에게 이끌리는 내면의 유대다. 따라서 말 자체에 얽매이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 P289

말로 고마움을 표현하는 것이 시작이 될 수 있는데, 치매관계에서 아주 크게 도움이 된다. 하지만 고마운 마음을 말로 표현하는 것 자체보다 더 중요한 것은 고마움을 경험하는 것이다. - P3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는 나 자신이 경험하고 있는 여러 가지 것들을 순간마다 소중히 여길 수있게 되었습니다. 분노의 감정이나 부드러운 느낌, 수치심, 상처, 사랑, 불안, 너그러움, 두려움 등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갑자기 일어나는 나의 모든반응을 귀하게 여기고 싶습니다. 나는 그때그때 떠오르는 어리석은 생각, 창의적인 생각, 기괴한 생각, 건전한 생각, 사소한 생각 등 나의 모든 부분을 소중히 여기고 싶습니다. 나는 적절하거나, 미친 것 같거나, 성취지향적이거나, 성적이거나, 누군가를 죽이고 싶다거나 하는 나의 모든 충동들을 좋아합니다. 나는 모든 감정들, 생각들, 충동들을 자신을 풍성하게 해 주는 것으로받아들이고 싶습니다. 그 모든 것에 따라 행동하려 하지는 않아도 그것들을모두 받아들일 때 나는 더욱 진실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때의 상황에 맞추어 더욱 적절하게 행동할 수 있습니다. - P63

남자든 여자든 이렇게 친한 친구들과 더불어 나는 나 자신의 모든 면들을나눌 수 있다. 고통, 즐거움, 공포심, 미친 듯함, 불안정함, 독선, 자기 비하 등 내가 가지고 있는 어떤 감정이라도 상관없다. 나는 그들과 환상과 꿈도 나눌 수 있다. 마찬가지로 나의 친구들도 나와 깊이 나눈다. 이러한 경험이 나를 매우 풍요롭게 해 준다. - P102

나는 나를 깊이 배려하는 사람에 대해 느끼는 부정적인 감정을 직면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를배웠다. 또한 관계에서 기대감이 얼마나 쉽게 관계에 대한 요구로 바뀔 수있는지도 배웠다. 내 경험에 의하면 그 또는 그녀와의 관계 안에서 당시에 어떤 모습이든 간에 있는 그대로의 그 사람을 배려하는 일이 내게는 가장 어렵다. 내가 그렇다고 생각하고, 그렇게 되기를 바라고, 또 그렇게 되어야만 한다고 느끼는 그들을 배려하기는 훨씬 쉽다. 그 또는 그녀가 나를 위해서 그렇게 되어 주기를 바라는 기대와 나의 필요에 맞추어 그 사람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나의 소망을 내려놓고 있는 그대로의 그 사람을 배려하는 것은 가장 어려운 일이다. 그렇지만 이는 만족스럽고 친밀한 관계로 갈 수 있는 훌륭한 방법이다. - P103

그리고 내게는 나 자신만의 독립된 생활이 있다는 사실이 그녀에게 좌절감과 상처를 안겨 주었다. 그녀가 너무 심하게 아플 때는 늘 시중을 들어주어야만 했기 때문에, 내가 항상 그녀 곁에 붙어 있어야만 하는 것이 내겐 매우 부담스러웠다.그래서 내가 살아남으려면 나 자신의 생활을 해야겠다고 결정했던 것이다.
이 때문에, 그리고 나의 가치관의 변화로 인해 그녀는 종종 깊이 상처를 받는다. 그녀의 입장에서는 섬기는 아내 역할을 하는 옛 모델을 포기하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변화는 그녀로 하여금 사회적으로 공인된 아내의 역할을 그녀에게 주었던 나와 사회에 대해 분노하게 만들었다. 내 입장에서는 이전의 완벽한 결합으로 우리를 되돌리려는 그 어떤 움직임에도 화가 난다. 나를 통제하려는 것으로 보이는 그 어떤 것에도 나는 완강하게 저항한다. 그래서 우리사이에는 이전의 그 어느 때보다도 긴장감과 어려움이 많으며 해결해야 할감정들이 많이 있다. 그러나 동시에 우리가 함께 사는 새로운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사이에 정직함도 더 많아졌다. - P104

우리가 각자 다른 현실 안에서 살고 있다는 것을 모든 인간 삶의 기본적인 사실로 수용한다면, 우리가 그렇게 상이한분들이 모든 세계 역사에서 배움을 위한 가장 장래성 있는 자원이라는 것볼수 있다면 우리가 두려움 없이 서로서로 배우기 위해 함께 살 수 있다면 우리가 이런 모든 것들을 할 수 있다면 새로운 시대가 올 것이다.  - P126

. 사람은 수용받고 소중히 여김을 받을수록 자기 자신을 돌보는 태도를 더욱더 발달시키게 된다. 누군가가 자신의 마음을 공감하며 들어줄 때, 그사람은 자신의 내면에서 경험하고 있는 흐름에 좀 더 정확하게 귀 기울여 들흡수 있게 된다. 한편, 그가 자기(self)를 이해하고 소중히 여길 때, 그의 자기는 그가 경험하고 있는 것과 더욱 일치된다. 그렇게 해서 그는 더 진실되고더 진짜가 된다. 이러한 성향들, 즉 치료자의 태도의 호혜성은 사람으로 하•여금 더욱 효과적으로 자기 자신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게 해 준다. 진실되고 온전한 사람이 될 수 있는 자유가 더욱 커지는 것이다(Rogers, 1972). - P1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대부분은 스트레스와 위협이 만연한 분위기를 느끼기 때문에 우리의 마음은 끊임없이 현실에서 벗어나 시간 여행을 떠나려고 한다. 스트레스와 불확실성에 많이 노출될수록 우리의 마음은 이상적인 세상 또는 디스토피아로 자주 떠난다. 종종 우리는 빨리 감기를 계속하는상태가 된다. 모든 불확실성을 해소하려고 노력한다. 미리 계획할수 없는 일을 머릿속으로 계획한다. 결코 일어나지 않을 사건들의시나리오를 돌려본다.
우리의 마음이 현재의 순간을 벗어나 여행을 떠나는 이유는현재의 순간에 머무르는 것이 정신적으로 힘들기 때문일 수도 있다. - P25

우리는 머릿속으로 다음번에 일어날 일을 계획하고 상상하느라 너무나 많은 시간을 사용하기 때문에 현재의 삶을 완전히 놓친다. - P2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신분석과 반대로, 사이코매직 내담자는 무의식에게 이성적인 언어를 가르치는 대신, 이성에게 무의식이 언어를 다루는 법을 가르친다. 이러한 무의식의 언어는 말뿐 아니라 행동, 이미지, 소리, 냄새, 미각 또는 촉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 P10

모든 질병의 기저에는 우리가 원하는 것에 대한 금지 또는 원치 않는 것을 하라는 명령이 깔려 있다. 모든 치유에는이러한 금지나 명령에 대한 불복종이 필요하다. 불복종하기위해서는 더 이상 사랑받지 못함, 즉 버림받음에 대한 유아기적 두려움을 버려야 한다. 이 두려움은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의 부재로 이어진다. ㅡ 두려움의 영향을 받은 이는 진정한자기 자신이 무엇인지 깨닫지 못하고 다른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람이 되려고 노력한다. 이러한 태도를 지속하게 되면 내적 아름다움이 질병으로 바뀌어버린다. 건강은 진정성 속에서만 찾을 수 있는 것이며, 진정성 없이는 아름다움도 없다.
진정한 내가 되기 위해서는 진정한 내가 아닌 것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있는 그대로의 내가 되는 것이 인간의 가장 큰행복이다. - P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