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흄 - 경험이 철학이다 지혜의 씨앗 씨리즈 3
아네트 C. 바이어 지음, 김규태 옮김 / 지와사랑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계의 철학자가 있지 않나 합니다. 하나의 철학을 완성하고 그 대표자로써 알려진 철학자들도 있고요. 플라톤, 데카르트나 칸트처럼 후자의 철학자들이 철학사에서 더욱 중대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고 더 많이 교육되어질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철학사의 측면에서 보자면 에피쿠로스나 흄, 니체과 같은 전자의 철학자들이 보다 흥미를 끕니다. 현상에 대해 회의를 던지는 자가 가지는 매력 때문이겠지요. 흄은 합리주의와 경험주의에 회의를 던짐으로써 칸트가 탄생하게 되는 배경을 마련했다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학창시절 철학사를 배우면서 주워들었던 내용만으로도 충분히 인상적으로 기억되는 이름입니다. 짧은 추론으로도 지각을 강조하는 그의 철학은 철학의 진실에 가장 가까우리라는 생각을 했거든요. 다만 무언가를 낳지 못하는 철학은 진실이라도 반토막일 수밖에 었었기에 칸트의 탄생을 기다릴 수 밖에 없었으리라는 생각도요.

 

 이 책은 흄의 생애와 겹쳐 그의 철학을 소개하는 책입니다. 문고판 크기이고 두꺼운 책도 아닙니다만 예상 이상으로 충실한 책이었어요. 생애와 철학을 절묘하게 잘 이어붙이면서 그의 생이 어떻게 그의 철학과 관계되는가를 은연중에 드러내고 있는 것이죠. 하나의 철학이 개인의 산물이자 그 이상으로 시대의 산물임을 보자면 이런 식의 서술방식은 마음에 듭니다. 읽기에도 훨씬 흥미롭고 말이죠. 예컨대 인간을 동물로 규정하면서 부모 자식간의 끈이 가장 강한 표유류로 규정하는 것은 흄의 어린 시절을 흥미롭게 비춰내고 있었습니다.

 

 

 정념을 강조하는 흄의 철학은 확실히 이해해가기 쉬운 편입니다. 상대적 의미에서겠지만요. 예컨대 이성에 집중하는 칸트의 철학은 관념적일 뿐더러 그 체계 자체를 소화하기가 어렵더라고요. 간신히 이해해도 공감하기 어렵기도 하고요. 반면 이성의 한계를 명쾌하게 드러내면서 현상에 집중하는 흄의 철학은 공감도가 높을 수밖에 없지요. 흄의 철학에서 기독교가 가지는 독특한 위치가 인상적이기도 했습니다. 회의주의자로 꼽히는 그라면 당연히 불신자일 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요, 불신자이면서도 무신론까지는 이어지지 않더군요. 그 당시 극소했던 불신자이면서도 많은 기독교인 친구와 어려움없이 교류할 수 있었던 것은 이런 관점 때문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어쩌면 그 역일지도 모르겠고요.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책이었지만 번역이 부분적으로 불편하게 느껴지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관념적이고 개념적인 용어가 많이 등장하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그와 무관하게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이 사라지는 부분이 잦아서 아쉬움이 남네요. 충분히 다듬을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되거든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