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거 앨런 포 소설 전집 3 : 환상 편 - 한스 팔의 환상 모험 외, 최신 원전 완역본 에드거 앨런 포 소설 전집 3
에드거 앨런 포우 지음, 바른번역 옮김, 김성곤 감수 / 코너스톤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로 나온 포 소설 전집 3권입니다. 3권은 환상 편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데요, 앞선 미스터리 편이나 공포 편이 대부분 읽어본 작품이었기에 기억을 되살리며 새롭게 읽어보았다고 한다면, 3권의 작품은 모두 처음 본 것들이었네요. 역시 포가 공포 내지 미스터리로 유명하기 때문이리라 생각되는데요, 생소하면서도 꽤 익숙한 느낌의 작품들이었습니다.

 

 처음 읽어본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익숙한 느낌이라는 것은 대부분의 작품에서 기괴한 분위기가 빠지지 않는다는 점 때문일 것입니다. '페스트 섬'이나 '최면의 계시' 등 당연히(?) 괴기스러울 스토리의 작품은 물론이고 '한스 필의 환상모험'이나 '천일야화의 천두 번째 이야기' 같이 가벼울 듯한 작품조차 군데군데 섬뜩한 표현이 빠지지 않습니다. 공포가 가미된 블랙유머의 향기가 풍긴다고 할까요? 환상 편에 실린 다수의 작품은 사실 미스터리나 공포 편에 들어갔어도 무리없을 듯한 느낌인데요, 어쩌면 분량을 감안해서 나누어 환상편을 만ㄷ든 것이 아닐까 생각해보기도 합니다.

 

 읽어갈수록 명확하게 깨닫게 되는 것은 포가 근대적 사고를 체화한 인물이라는 점이겠습니다. 어릴 적에 포를 읽으면서는 느끼지 못했던 점이었습니다만, 작품 속의 분열적이고 불완전한 인간상은 포가 가지고 있던 근대적 사고를 확연히 드러내주는 듯합니다. 재밌는 점은, 한편으로는 인간의 불완전함과 사악함을 환상적으로 그려내면서도 시각 자체는 철저히 합리적이고 근대화된 지식인의 그것이라는 점입니다. 포 자신이 그런 인물이었기에 오히려 더 날카롭게 인간성과 근대성 이면의 어두움을 포착해냈을지도 모르겠습니다만... 문체가 고색창연한 듯 하면서도 내용상으로는 현대인에게 전혀 이질감 없이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포 특유의 매력도 여기에 빚진 부분이 적지 않겠지요.

 

 개인적으로 인상깊게 읽었던 작품은 '한스 필의 환상 모험', '타원형 초상화' 그리고 '최면의 계시' 등이었습니다. 대체로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만, 단편임에도 장황하게 일장연설을 늘어놓는 작품들이 많아서 접근성이 조금 떨어지지 않을까 싶은 생각도 드는군요. 포 특유의 분위기에 익숙한 분이라면 큰 문제는 없겠지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