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경제학자라면 - 고장 난 세상에 필요한 15가지 질문
팀 하포드 지음, 김명철.이제용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4년 6월
평점 :
절판


 

 

 경제학 입문서의 성격을 가지는 교양서 중에 제일 재밌게 읽었던 책을 꼽으라면 제게는 두 권의 책이 떠오릅니다. 하나가 '괴짜 경제학'이고 다른 하나가 '경제학 콘서트'네요. 전자가 제목대로 우리의 상식을 뛰어넘어 허를 찌르는 경제학의 이면을 보여주었다면, 후자는 미시 경제학의 개념을 생활 속의 예를 들며 차근차근 설명해주었다고 할 수 있겠네요. 워낙 인기가 있었던 책인지라 둘 다 시리즈로 후속작이 나왔는데요, '당신이 경제학자라면'은 원제로 보았을 때 '경제학 콘서트'의 2번째 후속작인 것 같네요. 제목을 새롭게 바꾼 것은 의외기도 하군요.

 

 

 이번 책에서는 무엇에 대해 이야기하려나 했더니, 바로 거시 경제학이군요. 전작이 미시 경제학을 다루었으니 생각해보면 자연스러운 후속 주제겠네요. 다만 그렇다면 전작보다는 좀 더 딱딱하겠구나 예상하게 되는데요, 사실 실제로 전작보다는 읽을 때 힘이 들어가는 편이었습니다. 그것을 감안해서일까요? 형식도 다소 바뀌었는데요, 인터뷰 형식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는 것이죠. 독자를 미래의 경제 정책 결정가로 설정하고 필자를 경제학자로 설정하여 필자가 독자에게 강의를 해나가는 식입니다. 거시 경제학이라는 주제의 성격을 감안해보면 이런 방식의 선택은 마음에 들었습니다. 제가 이런 형식을 좋아하기도 하고 말이죠.

 

 

 두꺼운 책이 아닙니다만 의외로 거시경제학의 모든 개념을 차례차례 모두 설명하고 있더군요. 통화정책, 화폐, 재정정책, 실업 등을 설명하고 있는 것인데요, 일단 적절한 실례를 골라서 적절히 독자의 관심을 끈 후에 확장하여 해설을 붙여갑니다. 그 예들이 하나같이 흥미진진하다는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 아닐까 싶어요. 머릿글에서부터 괴짜 발명가가 만든 필립스 기계라는 경제학 기계를 예로 들더니만, 화폐 파트에서는 퍼포먼스 내지 시위의 일환으로 돈을 불태운 음악가들의 이야기가, 실업 파트에서는 실업의 발명가(?)로써 포드가 지목되는 식입니다. 거시경제를 다루는만큼 경제학파의 등장과 갈등관계도 빠질 수 없을 텐데요, 여러 파트에 걸쳐 여기저기 등장하여 부딪치고 통합하여 변해가는 양상을 그려내는 것을 보는 재미도 제법 쏠쏠합니다.

 

 

 확실히 '경제학 콘서트'만큼 가뿐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은 아니었네요. 대신 달리 말하자면 다 읽었을 때의 뿌듯함이 더 큰 편이었습니다. '경제학 콘서트' 1,2권은 물론 '어댑트'까지 읽었으니 국내에서 출간된 팀 하포드의 책 중 '경제학 카운슬링' 외에는 다 읽은 셈이 되려나요?(이 책은 왠지 자기개발서 같은 인상이 있어 읽지 않았는데 실제로는 어떨지 모르겠군요.) 아무튼 오랜만에 나온 속편이라 반갑게 읽었는데요, 다음 후속편은 어떤 주제를 다룰지 벌써 궁금해지는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