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도유사 - 천년고찰 통도사에 얽힌 동서양 신화 이야기
조용헌 지음, 김세현 그림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3년 10월
평점 :
품절


신화를 워낙 좋아하는 저입니다만, 신화에 대한 분석서는 그닥 좋아하는 편이 아닙니다. 특히 동양권의 분석서는 더 읽지 않는 편이고요. 아무래도 서구적 논리 구조에 익숙하게 자란 제게는 동양철학에 근거한 신화분석이 납득이 가지 않더라고요. 특히 주역이라도 들고 나오면 두손 들게 되고요. 그래서 이 책 역시 처음에는 당기지 않았는데요, 그럼에도 읽고 싶어진 이유는 단 하나, 저자 때문입니다. 그간 조용헌 님의 책을 보자면 어떤 주제에서든 인기 컬럼리스트답게 특유의 시원하면서도 매력적인 필력이 돋보이더군요. 그러니 설사 감당하기 어려운 내용일지라도 최소한 문장 읽는 재미는 확보되겠지 하는 생각에 읽을 마음이 확 들더라고요.



책의 발상은 제목에서 반 이상 드러나는데요, 그런 점에서 잘 지은 제목이 아닌가 싶네요. 통도사라는 유서깊은 절을 출발점으로 하여 통도사 자체의 신화는 물론 동서양의 각종각색의 신화에서 드러나는 정신세계를 살펴보고 역사 속에서 세상의 이치를 더듬어보자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는 것이죠. 그리고 작가의 머릿말에서 드러나듯이 일연의 삼국유사식 역사 서술 방식을 택하여 이야기를 풀어내는 것을 택하고 있고요. 단순히 현상세계만을 논하는 것이 아니라 피안의 존재를 인정함으로써, 생을 관조하면서 엿보게 되는 희망을 드러내보고 싶다는 것이 작가의 의도라고 합니다.



책은 총 4부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2부까지는 통도사에 얽혀있는 다양한 신화를 이야기로 풀어내면서 동양적 정신세계를 관념적으로 논하고 있는 반면에, 3부부터는 통도사의 역사적인 요소들, 예컨대 건축이나 인물 등을 좀 더 사실적으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일단 제가 통도사라는 절에 대해서 전혀 무지했고 불교에 대해 그다지 배경지식이 없는 편임을 고백해두어야겠습니다만, 작가가 펼쳐내는 세계는 한국적이라기보다 불교적이라는 인상을 주는 것이 사실입니다. 물론 우리의 역사를 살펴볼 때 양자가 분리될 수 없을만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겠고, 저자의 전공 분야가 불교인만큼 당연한 결과일 수도 있겠네요. 저자의 다른 책들도 불교에 근거한 내용이 많았고요. 물론 그런 내용을 민속학적으로 풀어낸 부분이 많아 읽기에 버겁다는 부분은 거의 없었고 문체도 편안하여 역시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펴낸 책인 것도 틀림없어 보입니다. 삽화로 들어간 수묵화나 많은 사진들이 책을 보는 부담을 더욱 더 덜어내준 것도 사실이고요. 전작인 '사찰기행'과 맥락이 닿아있는 부분도 많아서 답사기 류의 책에 익숙하신 분들이라면 특히나 흥미롭게 읽어나갈 수 있는 책이 아닐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