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 문학으로서 삶
알렉산더 네하마스 지음, 김종갑 옮김 / 연암서가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설적인 위인이라면 누구든 신화적인 아우라를 가지게 마련입니다만, 니체는 철학자들 중에서도 특히 카리스마 넘치는 인물이라는 아우라를 풍기곤 합니다. 다수의 저명한 석학들이 니체에 대하여 묘사할 때 '매료되었다'는 인상이 들도록 이야기하기 때문인데요, 그렇기에 저 역시 니체에 대한 동경을 품고 있었습니다. 실제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라는 책을 과감히 사들고 가슴 두근거려 했던 기억이 생생한데요, ... 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더군요. 좋게 말하자면 철학의 지평은 눈에 보이는 것보다 넓은 것이구나 깨닫게 되었다고 할까요? 확실히 일반인들이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철학자는 아닌 것 같습니다. 결국 3분의 1쯤 읽다 포기하고 고병권 선생의 해설서로 니체의 세계에 대한 개관을 하는 것 정도로 만족하고 말았습니다.



이 책의 출발점은 책의 부제가 아주 잘 드러내고 있다고 보이는데요, 저자는 니체를 사회과학자로서의 철학자로 보고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가 특히 문학가로써의 철학자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니체의 철학의 어려운 점 중 하나는 그의 철학 속에 상호모순되는 명제가 빈번하게 등장한다는 점인데요, 이것이 독자들을 혼란에 빠뜨리는 가장 큰 원인이 됩니다. 일부 학자들은 이것을 니체가 철저하게 상대주의적이고 주관주의적인 철학관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해석합니다. 하지만 네하마스는 상대주의만으로는 권력의지와 영겁회귀를 설명할 수 없다는 점을 들어 이를 비판하고 있는데요, 이 책은 니체 철학의 '모순'들을 하나 하나 들어 살펴보면서 그것이 실제로는 당대 철학적 독단주의를 피하기 위한 니체의 교묘한 '스타일'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설파합니다. 이것은 다의성을 본질로 하는 '문학'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죠. 문학의 다양한 함의는 그것이 하나하나 '진실성'을 담고 있으니 말입니다. 이렇게 독단주의를 배척하기 위해 니체가 취한 태도를 '원근법주의'라 일컫고 있는데요, 이 원근법주의에 대한 해석을 책의 전반부에 담아내고 있네요.



책의 후반부는 악명높은(?) 권력의지와 영겁회귀를 해석하는데 할당되고 있습니다. 사실 권력의지의 부분은 이 책의 해석조차도 아리송해서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만 영겁회귀의 부분은 제법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저자는 영겁회귀가 실제적인 개념이 아님을 전제하고서, 그것이 현재의 삶을 정당화할 수 있는 최상의 논리이기 때문에 현재의 삶을 긍정하라는 니체의 궁극적인 결론을 불러내기 위한 최고의 논거가 된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에 근거하여 다양한 저서를 통하여 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전범으로 제시할 수 있는 이상적인 자아상을 그려내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것 역시 지극히 문학적인 방법론이라고 결론 짓지요.



책을 읽어가다보니, 내용의 난해함과 어투의 딱딱함보다는 다양하게 인용되는 니체의 저작들에 대한 이해가 없다는 점이 답답하게 느껴지더군요. 여러모로 이 책은 해설서라기보다 논문이라고 보아야 마땅할 것 같습니다. 그만큼 정교하고 철저하지요. 아무래도 니체에 대한 배경지식이 있어야 제대로 읽을 수 있는 책이 아닐까 생각되는군요. 저 역시 그나마 예전에 읽었던 내용이 머릿속에 남아있어서 꾸준히 읽어냈지, 아니면 또 포기했을지도 모르겠어요. 그래도 역시 좀 더 공부하고 난 후에 한번 더 읽어봐야 될 책이 아닌가 생각되기도 하고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