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의 이면 - 1993 제1회 대산문학상 수상작, 개정판
이승우 지음 / 문이당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이 올해 다시 출간된 것은 역시 유명 팟캐스트에서의 소개 덕이 아닐까 싶습니다. 저 역시 '빨간 책방' 팟캐스트를 통해서 처음으로 이승우 작가의 이름을 알게 되었거든요. 이동진 님께서 작가의 책이 출간될 때마다 꼭 사서 애독한다는 말을 할 정도로 깊은 애정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읽어보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을 수 없었네요. '생의 이면'은 이승우 작가의 처녀작으로, 단순히 이 작품으로 데뷔했을 뿐만 아니라 대산 문학상이라는 상을 수상했다고 하니 작가의 이력상 상당한 의미를 가지는 작품이라 할만하겠습니다.



소설을 읽게 되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문체일텐데요, 이 소설은 김훈 작가의 그것을 떠오르게 했습니다. 간결하고 건조하면서도 날카롭게 직구를 던지는 듯한 어조, 그리고 모순어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 때문이겠네요. 이런 어조에 다소간 힘입은 덕일까요, 소설을 읽어 가기는 어렵지 않은 편입니다. 이러한 어조로 펼쳐내는 이야기는 '박부길'이라는 작가의 연대기입니다. 박부길이 명성을 얻으면서 출판사에서는 그의 이력에 대한 특집 기사를 내기로 했고, 기사를 맡은 작가가 화자가 되어 이야기를 펼쳐내는 것이죠. 과거의 재구성을 위해서 화자는 박부길이 쓴 소설을 주된 자료로 사용하는데요,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의 모습에서 작가 자신의 모습을 읽어냅니다. 소설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고 하겠습니다. 전반부에서는 불운한 가정환경을 중심으로 아버지와 어머니, 그리고 자신을 키워준 큰아버지와의 삶이 펼쳐지고요, 후반부에서는 집을 뛰쳐나와 화석화된 삶을 살아가다 운명적인 여인과 만나게 되고 그녀를 위하여 신학도의 길을 가다 어긋남 끝에 작가로써의 생을 시작하는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작품 속에서 소설 속 인물을 작가와 동일시해서는 안된다는 당연한 이야기가 나옵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은 여러모로 작가 자신의 회고록처럼 읽힙니다. 자신을 객체로 삼아 객관적인 관찰을 하기 위하여 작품 속에 박부길이라는 거울상을 등장시킨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이죠. 그렇게 생각해볼 때 작가가 머릿글에서 이 소설에 유난스러운 애정을 가지고 있다는 말을 한 이유도 납득이 가게 됩니다. '자신'을 대상화하여 인물의 사고와 욕망을 명징하게 규정해가는 과정을 보노라면 세잔의 그림을 떠올리게도 됩니다.



이런 종류의 명징함과 단호함은 제가 좋아하는 바가 아니고, 작품 자체로도 군데군데 불완전한 부분이 보여 기대만큼 인상적이었던 작품은 아니었다는 것이 개인적인 소감입니다. 작가 스스로도 언급하듯 후반부는 길을 잃은 듯 보이기도 했고요. 지금은 저자의 근작인 '지상의 양식'을 읽고 있는 중입니다만, 이 작품도 자기 인용이 상당히 많은 소설이네요. 두 작품의 연결점이 확연하게 드러나는군요. '생의 이면'보다는 좀 더 좋은 예감이 드는데요, 어떠려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