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 죽이기
아멜리 노통브 지음, 최정수 옮김 / 열린책들 / 2012년 10월
절판



한때 반전(反轉)영화가 많은 사랑을 받은 시기가 있었죠. 지금도 꾸준히 반전영화가 상영됩니다만, 그때는 극장에 올라가는 영화의 절반이 반전영화였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특히 기억에 남는 작품이라면 '식스센스'와 '유주얼 서스펙트'가 있네요. '식스센스'는 영화 곳곳에 실마리를 던져놓지만 관객이 눈치채지 못하게 위장해나가다가 마지막에 베일을 벗겨내며 조각을 맞추어내어 관객들이 경악하게 만드는 작품이었죠. 반면 '유주얼 서스펙트'는 일반적인 스릴러처럼 진행되던 끝에 마지막에 그간의 스토리 전체를 부정함으로써 관객들을 '멘붕'하게 만드는 스타일의 반전영화였습니다. 때문에 '유주얼 서스펙트'의 경우에는 영화의 의미라는 측면에서 제법 많은 비판도 받았습니다만, 반전 자체의 강렬함과 새로운 스타일의 창조라는 특색 때문에 의의를 인정할만한 영화였습니다.



아멜리 노통브는 우리나라에서 사랑받는 프랑스 대중소설가 중 대표적인 인물이라 생각되는데요, 특히 반전이 일품인 소설을 써내는 작가입니다. 이번 작 '아버지 죽이기' 역시 그런 스타일의 소설이리라 예상하고 접했고요. '아버지 죽이기'라는 제목은 오디피우스 컴플렉스를 중요한 소재로 사용했음을 드러내고 있는데요, 소설의 얼개는 그 틀을 차용하고 있습니다. 그 끝에 말그대로 오디피우스 컴플렉스가 전도되는 반전이 등장하고요. 전개 과정은 '유주얼 서스펙트'식이라 하겠는데요, 결국 책의 10분의 9가 부정되며 10분의 1의 결말에 봉사하는 방식인 것이죠. 문제는 그러한 부정을 용납할 만큼 반전이 강렬하지도, 재밌지도, 인상적이지도, 자극적이지도 않으며, 새로운 스타일이라고 할만한 것도 없다는 것입니다. 그 결과 독자로 하여금 도대체 이 책을 왜 읽었는가 회의하게 만드는 엉뚱한 '반전'을 불러일으키는 것입니다.



다행이라면 책이 얇다는 점이네요. 이 책이 두껍기까지 했다면 정말 시간이 아까워서 화가 났을 것 같습니다. 실질적으로 등장인물은 3명, 거기에 숨겨인 인물 1명이 등장하는 간결한 구조인데, 그 중에서 주요 인물인, 혹은 그렇게 생각되었던 크리스티나는 도대체 왜 등장했던 것인가, 그녀가 말하고 보여주던 것은 무엇인가 싶습니다. 결말에서는 아예 소외되어 버리는 그녀는 그저 하나의 맥거핀으로 볼 수밖에 없는데요, 헛웃음이 날 따름이네요. 책의 중간중간에 좋게 봤던 섬세한 묘사조차 결국 결말 때문에 기능을 상실함으로써 배신감을 더해줄 뿐이고요. 주제가 있을 것으로 생각했던 독자들에게든, 재미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던 독자들에게든 실망감을 안겨준 실패작이라 생각합니다. 차기작을 낸다면 좀 더 분발해주었으면 좋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