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아래 봄에 죽기를 가나리야 마스터 시리즈
기타모리 고 지음, 박정임 옮김 / 피니스아프리카에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일본에서는 벚꽃 아래 시체가 묻혀있다는 이미지가 상당히 자주 변주되곤 하는 듯 합니다. 벚꽃의 낙화가 주는 죽음의 이미지 때문이겠지요. 이 책 역시 '꽃 아래 봄에 죽기를'이라는 제목으로 그와 같은 탐미적 이미지를 빌려오고 있습니다. 작품 속에서도 등장합니다만 일본 특유의 시가양식인 하이쿠에서 빌려온 구절인데요, 추리소설이기는 하지만 조금은 독특한 분위기를 풍기리라 생각하게 만드는 제목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 책은 여섯 편의 단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흔히 보는 트릭 위주의 본격 추리소설이라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추리는 오히려 작품 특유의 분위기를 돋우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까요? 소설을 읽어가다보면 추리에 몰입하기보다는 애상적인 정서에 빠져들어 고즈넉한 기분이 들게 되는 것이죠. 작품은 가나리야라는 조그만 맥주바를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가게의 주인인 구도는 신비로운 분위기를 풍기는 바텐더인데요, 가게를 찾는 손님들이 가져오는 소소한 수수께끼들을 앉은 자리에서 풀어내곤 합니다. 하지만 그런 수수께끼를 풀어가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손님들의 맺힌 상처를 풀어내어 위안을 주는 것에 의미를 둔다는 점에서 상당히 독특한 분위기가 풍겨나게 되는 것이죠.

 

 만화를 좋아하는 저는 이 작품을 읽어가면서 "바텐더"와 "심야식당"이라는 두 만화를 떠올렸습니다. 구도의 이미지가 바텐더를 떠올리게 했고 각양각색의 손님이 찾아들어 편안히 음식을 즐기는 분위기에서 "심야식당"을 떠올리게 되었던 것 같습니다. 사실 매 작품마다 맛깔난 음식들을 소개하고 있는 점이 상당히 인상적이었거든요. 어찌나 맛있게 그려놨는지 꼭 먹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습니다.

 

 여섯 편의 단편 중에서 인상적이었던 것을 꼽자면 책 제목과 동제의 "꽃 아래 봄에 죽기를", "물고기의 교제" 두 편이었습니다. 소설의 처음과 끝을 장식한 작품인데요, 두 작품이 수미상관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기억에 남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고향을 떠나 떠돌다가 쓸쓸히 살다가 꽃피는 봄에 홀로 저물어간 하이쿠 시인 소교, 그에게 정을 품고 있었던 나나오는 쇼고의 삶의 흔적을 뒤쫓아가면서 비밀을 파헤쳐가게 됩니다. 그의 고향을 찾아가는 이야기가 첫번째 이야기이고, 그가 방랑 중에 인연을 맺은 또다른 여인의 삶을 뒤쫒는 것이 마지막 이야기입니다. 이 두 이야기야말로 기타모리 고라는 작가의 독특한 색이 가장 잘 드러난 것이 아니었나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