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국왕 vs 중국황제 - 시대를 뛰어넘는 권력의 법칙
신동준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어느 시대이든 그렇겠지만 확실히 요즘 리더십의 창출이 상당한 이슈인 듯하다. 탁월한 지도자를 모든 문제에 대한 해결책인 것으로 생각하는 것은 탐탁치 않은 일이지만 분명 크던 작던 인간이 집단에 소속되는 이상 그 집단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리더의 역할이 중요한 것이 사실이다. 그런 면에서 리더십을 분석하는 다양한 책이 출간되고 인기를 끄는 것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특히 역사가 인간 지혜의 원천이라는 점에서 역사 속 인물로부터 리더십을 배우는 것은 상당히 효과적인 선택이리라 생각된다.

이 책 역시 조선의 국왕들과 중국의 명청대 황제들을 비교해가며 탁월한 리더십의 본질을 탐색해가고자 하는 책이다. 신기하게도 비슷한 시대에 존재했던 조선과 명의 지도자들은 비슷한 역사적인 과제를 부여받고 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투해야 했다. 국가의 흥망성쇠가 하나의 법칙인 이상 흥망의 주기가 비슷해서이기도 하겠지만 중국과 조선이 워낙 긴밀히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기도 하리라. 비교 대조야말로 진실을 발견하기 위한 최선의 실험적 조건을 제공하는만큼 좋은 방법론을 택한 책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하지만 실제로 들여다보면 이 책은 양자를 비교분석한다기보다는 중국 황제의 일대기를 서술한 책에 가깝다는 게 사실이다. 아마도 조선 국왕의 삶에 대해서는 많은 이들이 충분히 알고 있으리라 판단했기 때문일테고 일면 타당한 판단이기도 하지만 다소 독자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것도 사실이라 생각된다. 덧붙이자면 사실 판단에 있어서 다소 집단 위주의, 현상 옹호적인 가치관을 적용하고 있는데 설득력 있는 부분도 있지만 다소 과하게 자의적인 해석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하게 되는 부분도 있다.

역사책의 호오는 독자의 가치관이 작용할 수밖에 없는 부분이다. 저자가 좋은 내용을 담아냈더라도 독자의 가치관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으면 거부감이 들 수밖에 없는 게 사실이다. 그런 면에서 나에게는 아쉬움이 있는 책이었지만 내용의 풍부함이나 저자의 심사숙고를 감안해볼때 충분히 일독의 가치가 있는 책이다. 다만 어떤 책이든 그렇겠지만 특히 역사책을 읽을 때는 조심스럽게 탐색하듯 읽어가지 않으면 안된다고 생각한다. 진리인가 아닌가가 가치관에 의해 좌지우지될 수밖에 없는 것이 역사적 사실이기 때문이다. 어느 정도 역사적 배경지식이 있는 사람에게만 이 책을 권하고 싶은 이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