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밥상 - 밥상으로 본 조선왕조사
함규진 지음 / 21세기북스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이 책의 제목을 보노라면 왠지 밥상머리 교육이라는 말이 떠오른다. 온가족이 식탁에 둘러앉아 밥을 먹으면서 아버지가 식사 예절부터 시작하여 몸가짐에서 주의해야할 바, 혹은 근래 사회의 일들을 이야기하듯 가르치듯 했던 것을 밥상머리 교육이라 하지 않았던가.. 요새야 아버지는 직장에, 아이들은 공부에 바쁘다 보니 가족이 한밥상에 앉기도 힘들 뿐더러 간만에 같이 앉더라도 묵묵히, 후다닥 식사를 하고 갈길 가는 일이 잦은 것 같다. 아무리 사회가 변했다 하나 아직까지도 기본적인 인성교육은 가정에서 나오는 것이고 그런 교육에서 밥상머리 교육이 차지하는 바가 적지 않았더라는 생각을 해보노라면 왠지 현실은 아쉽게만 느껴진다. 각설하고 군사부일체라는 말로도 알 수 있듯 조선시대 임금은 곧 나라 전체의 아버지였다. 그런 '큰' 아버지의 밥상에서 정치가 빠질 수 있을리가 없었으리라 추측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이 책은 그러한 추측에 살과 뼈를 붙여가는 흥미로운 내용을 담고 있다. 

전체적으로 보아 이 책은 문화 관련 도서라기보다 역사 관련 도서라 해야할 듯하다. 책의 전반부는 조선 27명의 왕들이 어떠한 밥상 취향을 가졌는지, 그리고 그러한 취향은 실제 정치와 어떻게 연관되었는지 설명하는데 할당된다. 그러다보니 조선시대 역사에 대한 통사를 읽는 기분이 든다. 폭군이라 알려진 왕들의 까다로운 식욕과 자기관리가 철저했던 왕들의 정치적 식사 행태(?)등은 상당히 재미있다. 하지만 책의 중심에 밥상이 놓이다보니 역사적 사실에 대한 설명을 지나치게 밥상으로 환원시키고 있다는 인상이 들기도 하고,조선왕조실록을 철저히 신뢰하는 입장에서 역사서술이 이루어지다보니 논쟁이 있을 수 있는 부분도 곳곳에 보인다는 점은 아쉽다. 그렇다고 해도 왕들의 사슴꼬리에 대한 탐닉(?)과 감선-국가적 화(禍)가 있을 때 왕이 반찬의 가짓수를 줄이는 것을 감선이라고 했다고 한다-횟수와 수명의 반비례에 대한 분석 등을 읽다 보면 재미가 상당히 쏠쏠한 것이 사실이다.

후반부는 밥상을 담당했던 부서는 어떠한 것들이 있었는지, 그리고 어떠한 재료가 쓰이고 그것이 각각 어느지방에서 올라왔는지를 서술해간다. 여기부터는 상당히 본격적이라는 인상이고 자료도 워낙 많다보니 읽는 속도가 조금 떨어진다. 그리고 그것을 벌충하듯 앞서 서술한 자료에 기반하여 음양오행에 따른 밥상의 구성원리를 설명한 부분에서는 다시 읽는 속도가 올라간다. 책의 전반부가 읽기 편하여 빨리 읽을 수 있었다면 이 부분에서는 집중도가 올라가서 읽는 속도가 빨라졌다고 할까.. 음양오행 이론의 타당성에 대한 부분은 차치하고 그러한 밥상의 구성원리가 가지는 고유한 의미를 서구의 그것과 비교하는 부분은 이 책의 백미라 할만하다. 어떤 내용일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요약하여 말씀드리자면... 책을 참조하시면 된다고 말씀드리겠다^^ 

책이 전문적이고 본격적일 듯한 인상이 있어 접근하기 꺼려하시는 분이 있으시다면 걱정하실 필요는 없다고 말씀드리겠다. 전반적으로 부담없이 읽을 수 있도록 서술되어 있으며, 좀 성가신 제도 및 재료 설명부분은 적당히 훑고 넘어가는 정도로 지나가도 후반부의 결론을 이끄는데는 무리가 없다. 허영만 선생의 '식객'이나 드라마 '대장금'을 즐겨보신 분이라면 독서 싱크로율이 더 높을테고, 한창 조선사를 공부하는 중고생이라면 전반부만 읽더라도 학과공부를 훨씬 생생하게 정리하는 효과가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