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전국 이야기 1 - 최초의 경제학자 관중 춘추전국이야기 (역사의아침) 1
공원국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춘추전국시대를 다룬 책이라면 셀 수 없을 정도로 많겠지만 내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책은 고우영 화백의 십팔사략이다. 이 책은 춘추전국시대에 대해서만 적은 것이 아니라 중국의 신화시대부터 송대까지 다루고 있지만, 특히 춘추전국시대를 다룬 부분에서 가장 재미가 있었던 것 같다. 그래서 어릴 적 그 책을 보고 나서 일부러 춘추전국만을 다룬 역사책을 찾아 읽어보았던 기록이 새록새록 떠오른다. 물론 소설을 읽듯 난세의 영웅들의 활약담을 읽고 즐긴 것이었지만, 한편으로는 인간의 본성이란 결국 난세에 더 잘 드러나기 마련이라는 점에서 사람을 보는 눈을 넓히는데 나름 도움이 되지 않았나 싶기도 하다.

그러한 기억을 떠올리게 해준 이 책, [춘추전국 이야기]는 단도직입적으로 말해서 본격 역사서라 하기 부족함 없는 책이다. 한 분야를 신중히 택하고 그 분야에 전력을 쏟은 책이 주는 즐거움, 예전에 [자산어보를 찾아서]를 볼 때 느꼈던 즐거움을 느끼게 만드는 책이라고 할까? 그만큼 공들인 티가 역력히 묻어나는 것이다. 사실 우리나라의 역사가가 고대 중국의 역사를 이처럼 파고드는 것도 비전문가의 입장에서는 신기하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모르긴 몰라도 이정도라면 중국인에게라도 얼마든지 자랑스럽게 보여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 책은 춘추전국의 바탕이 된 상, 주의 모습을 그려내는 것으로 시작된다.(보통 은나라로 불리우는 중국 고대 국가를 이 책은 상나라라고 칭한다. 조금 낯설게 느껴져 찾아 보니 은은 다른 나라에서 부르는 이름이었고 스스로는 상이라고 칭하였다고 한다.) 특히 주의 종법제도는 중국의 근간이 되어 춘추시대의 국가난립을 초래한 배경이 된다. 그런 주가 외세에 밀려 동주로 옮겨가면서 각국이 난립하기 시작하는데, 1권에서는 그 중 제나라, 특히 관중을 중심으로 초기 춘추시대를 고찰하는데 주력한다. 관중이야 워낙 '관포지교'라는 사자성어로도 잘 알려진 인물이지만, 고사의 내용 때문인지 다소 뻔뻔한 인물(?)로 기억하고 있는 정도였다. 하지만 저자는 공자를 비롯한 많은 이들의 인물평부터 시작하여 관중이 만들어낸 제도를 소개하면서 관중이야말로 춘추시대의 경제, 행정, 군사 등에 있어 질서를 세운 사람임을 드러낸다. 그는 정당한 욕망을 긍정함으로써 경쟁의 선순환을 이끌어내는데 성공하여 제나라의 번영을 이끌어냈다는 것이다. 그러한 내용들을 흥미로운 고사를 읽는 재미나 인물에 대한 현대적 해석을 통한 교훈과 잘 버무려낸 점이 특히 훌륭하다고 보인다. 한편으로는 역사서 같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자기개발서 같기도 한, 두 얼굴을 가진 책이라는 인상이다.

이 책에서 가장 돋보이는 점은 지도의 적극적인 활용이 아닌가 싶다. 국가의 흥망성쇠를 자연환경에 기대서만 설명할 수는 없는 일이겠지만 과학이 발달하지 못한 시대일수록 자연에 대한 의존도는 커지기 마련이고 특히 다수의 국가들이 난립하여 흥망성쇠를 되풀이하는 춘추전국시대라면 그러한 면은 더욱 중요하게 작용될 것이다. 사실 그간 내가 본 책들은 대부분 인물 위주의 서사에 집중하여 역사라기보다 소설처럼 느껴진 면이 컸는데 이 책은 다수의 지도를 활용함으로써 실제한 국가의 양태를 생생히 드러내준다. [로마인 이야기]를 읽으면서도 느꼈던 점이지만 역사서에 있어서 지도의 역할은 확실히 무시할 수 없는 것임을 다시한번 느끼게 되었다. 특히 책 뒤에 고이 접혀 달려있는 거대한(!) 지도는 죽 펴두고 책을 읽어가며 훑어보노라면 그 당시의 모습을 떠올리는데 크게 도움이 되었다. 

이 시리즈는 현재 진 문공을 다루는 2권까지 출간되어 있으며, 10여권으로 완성될 예정이라 한다.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를 출간을 기다려가며 매년 한 권씩 읽어내는 재미가 쏠쏠했는데 이제 완결되어 허허로운 참이었다. 긴 시간을 들여 조금씩 읽어갈 수 있는 좋은 역사물이 없으려나 고대하던 참에 기대할만한 시리즈를 만나 반가울 따름이다. 아직 첫걸음을 함께 했을 뿐이지만 실망시키지 않는 시리즈로 완결되기를 기대하게 된다. 1권에서 느껴지는 정성과 열정이라면 충분히 기대에 부흥할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