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 경제학 - 금융의 덫에 걸린 경제 진단과 처방
한배선 지음 / 청림출판 / 2010년 7월
평점 :
품절


97년 아시아의 경제 위기와 재작년 미국 금융 위기, 그리고 작년 유럽 경제 위기까지... 연이은 경제 폭탄으로 위기감이 고조되다보니 이것을 일반적인 경제 주기에 의한 위험 이상의 것으로 보고 그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는 노력도 이어지고 있는 것 같다. 나의 능력으로는 이러한 사태의 표면적은 원인을 보고 혀를 차거나, 아니면 자본주의를 유지하는 한 발생할 수밖에 없는 파생위험 정도로 생각할 따름이지만, 그럼에도 경제위기가 동반하게 되는 많은 경제적 약자의 고통을 근원적으로 치유해낼 수 있는 방안을 찾을 수 있다면 그러한 노력은 두손들고 반기게 된다. [빚 경제학]의 저자 한배선 씨는 기자의 입장에서 아카데미즘을 조합하여 현실의 경제를 해석하면서 이러한 위기의 중심에 '신용'을 둔다.

 

단도직입적으로 보자면 사실 이 책의 결론은 당연한 이야기들 중의 하나인 게 사실이다. 이런저런 이야기를 가져다 붙이지 않더라도 금융은 태생적으로 실물경제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때문에 균형을 유지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런데 이런 금융에 신용이라는 이름으로 인간의 욕망이 거품처럼 달라붙다보면 결국 균형을 잃고 경제 전체가 위태로워지는 상황이 발생한다는 점은 당연한 이야기이다. 주류 경제학에서도 이러한 사실을 잘 알지만 그럼에도 신용을 억누르는 것이 득보다 실이 많다고 보는 것일테고, 저자는 그러한 태도가 앞으로 계속된 경제 위기를 불러오게 된다고 보는 것이리라. 저자는 9장까지 현 경제체제가 신용을 비대하게 만들어 위기를 불러오는 일련의 과정을 그려내는데 주목하고 10장 이후로는 그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으로써 패러다임의 전환을 주장한다. 간략히 요약하자면 너나없이 덮처올 위험성을 잊지 말고 금융에 대해 적절한 굴레를 씌우자는 것인데, 그 굴레는 한편으로는 인간 탄생 이래로 모든 인간을 골머리 썩게 만든 문제덩어리인 욕망의 제어이고 다른 편으로는 시스템적인 제어장치, 예컨대 부채 관리 시스템이나 금융 감독 시스템을 강화하는 것이다.

 

애초 학술서라기보다 분석서인만큼 이 책이 보여주는 대안에 대해 이리저리 말하는 것은 방향성이 없으리라 생각된다. 오히려 얼마나 꼼꼼한 서술이 이루어졌는지, 또 현상태에 대해 얼마나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을 얼마나 흥미롭게 읽어갈 수 있는지가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개인적으로는 상당히 만족스럽게 읽을 수 있었다고 결론짓고 싶다. 다만 이 책이 겨냥한 독자층이 어디일지 아리송한 것은 사실이다. 교양서와 논문의 중간에 놓인 듯한 서술구조는 개정판을 낸다면 손볼 여지가 있지 않나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