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세자 암살 미스터리 3일 1
이주호 지음 / 예담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운의 인물이 가지는 아우라가 있다. 사도세자.. 영조의 컴플렉스, 세자 자신의 광기, 조선을 썩어문드러지게 만든 당쟁 사이에서 죽음을 맞이해야 했던 비운의 인물이다. 특히 역사에 유래가 없는 기괴한 방식으로 아버지에 의해 처형된 아들이기에 그의 죽음은 더욱 강하게 각인된다. 계몽군주로써 영정조가 가지는 의미와 이들의 실패 이후 가속화된 조선의 몰락 때문인지, 이 시대를 전후한 역사적인 사실들은 근래 상당히 세세하게 재조명되고 있는 것 같다. 재창조에 가까운 재해석이 잇다르던 와중에 마침내 잊혀졌던 사도세자 역시 새로운 해석의 과정을 거치고 있나 보다. 이 책, '3일'은 사도세자가 뒤주에 갖히기 전 3일간에 일어났던 일들을 다루고 있는 팩션이다. 

 어떠한 소설이든 그렇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재미가 아닌가 한다. 감각적인 흥미로움이든, 지적인 쾌락이든 짜릿한 흥분이 없는 소설은 읽을 맛이 없게 마련이다. 팩션 중에서도 미스테리 팩션에 속하는 이 책이라면 역시 그 미스테리를 얼마나 개연성 있고 스피디하게 전개해내는가가 관건이 될 것이다. 영조가 노환으로 경각을 다투게 되자 극한의 대립을 달리고 있던 사도세자와 노론의 갈등도 극단으로 치닫는다. 그 와중에 일어나는 연쇄살인. 사도세자의 심복들이 연쇄적으로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고 병조의 촉망받는 신진관료 유문승이 어명을 받아 사건을 조사하기 시작한다. 살인자는 귀신같은 솜씨로 피해자들의 몸 속에 암호를 남겨두고 그 암호를 해결하는 것이 살인자를 찾아내는 지름길이 될 것이었다. 이 살인자의 배후에 있는 것은 누구일까? 그것이 이 책이 풀어가는 핵심적인 미스테리일 것이다. 2권 분량임에도 스피디하게 풀어가다 못해 날아가듯 진행되는 전개는 상당히 몰입도를 높여주는데 성공하고 있다. 특히 퍼즐 풀기는 언어유희적인 한시 해석이 주를 이루는데, 개인적으로 예전에 읽었던 [정민의 한시 읽기]가 떠올라 더욱 즐거웠던 것 같다. 굳이 아쉬운 점을 말하자면 개인적으로 다소 느리더라도 꼼꼼한 전개를 선호하는 편이기 때문에 여유가 없이 읽어야했던 점은 아쉽게 느껴지기도 했다. 또 다수의 고어와 한자어 활용은 당대의 분위기를 재현해내는데는 적합하지만 역시 읽다가 턱턱 걸리는 것이 사실이었다. 다행스럽게도 충실한 주석을 달아주어 이해를 하지 못할 정도는 아니지만 아무래도 어휘력이 풍부한 사람이 아니라면 약간 불편하게 느껴지기도 할 것 같다. 마지막으로 잘된 팩션이 그렇듯 사실과 해석의 경계가 모호하다 보니 소설이라는 것을 잠시 잊어버리면 잘못된 지식이 머리에 남을 수도 있으리라는 우려가 들기도 한다. 

마지막 책장을 덮을 때까지 긴장감을 늦출 수 없는데다 마지막 책장을 덮고 나서도 상당히 공을 들인 작품을 감상한 충족감이 느껴지는 잘 된 팩션이라 생각된다. 지금까지 읽었던 국내 작가의 팩션 중에서 가장 밸런스가 잘 잡혀있다고 느꼈던 작품은 [바람의 화원]이었는데 이 작품 역시 못지않은 균형감각을 보여주고 있다. 아쉬운 점조차 잘된 면의 그림자라 할 수 있을 정도라 생각된다. 조만간 전작인 [왕의 밀실]도 읽어볼까 하는데, 어떠한 차기작으로 다시 만나게 될지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