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정도전 1 - 하늘을 버리고 백성을 택하다 정도전 1
이수광 지음 / 쌤앤파커스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건국의 영웅 뒤에는 항상 뛰어난 책사가 있게 마련이다. 주왕 뒤에는 강태공이, 유방 뒤에는 한신과 장량이, 주원장에게는 유백온이 있었듯, 조선의 건국자 이성계의 뒤에는 정도전이라는 걸출한 인물이 있었다. 흥미로운 것은 주군과 신하라는 입장에도 불구하고 이성계-정확하게는 이성계 이후 조선의 왕들이라 해야겠지만-가 바라본 조선과 정도전이 바라본 조선의 모습이 크게 달랐다는 점이다. 맹자의 왕도사상에 크게 경도되어서였을까, 정도전은 재상 위주로 운영되는 신권 중심국가를 꿈꾸었으며, 놀랍게도 이후 조선의 모습은 정도전이 꿈꾸었던 그것과 유사한 모습으로 존재하게 된다. 사실 맹자의 나라인 중국에서도 그러한 정치형태는 존재하지 않았으니 맹자가 알면 정도전에게 크게 감사해하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다. 물론 정도전이 꿈꾸었던 모습과 조선이 얼마나 유사했는지, 특히 신권 중심의 조선이 붕당과 세도정치로 이어지게 된 것에 어떠한 필연성이 존재했던 것은 아닐지, 분석 내지 비판의 여지가 없지 않겠으나 최소한 그러한 꿈을 키워낼 수 있었던 정도전이라는 인물은 상당한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다. 정도전, 그의 삶의 모습은 어떠한 것이었을까?

[나는 조선의 국모다], [조선을 뒤흔든 16가지~]로 유명한 이수광 작가가 이러한 정도전의 삶에 대해 들고 나왔다. 2권에 걸쳐 소설이랄지, 평전이랄지 어중간하게 느껴질 정도로 보편적인 해석으로 정도전의 다사다난한 삶을 그려낸 책들이다. 사실 조선건국사는 그 자체로 워낙 흥미진진하기 때문에 그 중심에 누구를 세워두고 그림을 그려나간다해도 어느 정도의 재미는 보장될 것이라 생각된다. 특히 정도전을 중심으로 그려낸 고려의 쇠망과 조선의 건국사, 그리고 정도전 개인의 성쇠의 과정은 상당히 흥미롭게 서술된다. 툭히 소설의 특징상 인물의 대립각이 부각된 점은 가장 재미를 불러일으킨 점이 아니었나 싶다. 하지만 다소 밋밋한 서술방식, 충분치 않은 분량으로 인한 개괄적 서사가 다소 아쉽게 느껴진다. 개인적으로 조금 더 세세하게 인물의 호흡을 담아가는 전개를 원했기 때문이었을지도 모르겠다. 2권으로 나뉘어 출간되었음에도 분량 자체가 너무 부족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정도전의 삶을 잘 몰랐던 이에게 정도전과의 만남을 인도하는 책으로는 적합할 수 있겠으나, 한국사에 대한 다소간의 사전지식이 있는 사람에게는 여러모로 한계가 보이지 않을까 생각되는 것이다.

천 가지 사람은 천 가지 꿈을 꾸게 마련인가 보다. 멀리서보면 같은 색으로 보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결국 늘 동상이몽인 것이 인간의 꿈, 인간의 욕망이다. 이색, 정몽주, 이성계, 이방원, 하륜 그리고 정도전... 육신은 이미 스러져 진토가 되어버린 지 수백년이지만 그들의 꿈은 아직도 기억된다. 그 꿈은 역사라는 이름의, 불멸의 아름다움을 가진 유물인 것일까, 아니면 그저 우리 각자가 꿈속에서 꾸는 또다른 꿈에 지나지 않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