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걸리, 넌 누구냐? - 색깔 있는 술, 막걸리의 모든 것
허시명 지음 / 예담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요즘 막걸리가 붐은 붐인가보다. 얼마 전에 은행을 갔더니 막걸리 적금이라는 이름의 예금상품을 홍보하고 있어 놀랐던 기억이 있다. 확실히 몇해 전에 비해 막걸리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크게 증가한 것이 피부로 느껴질 정도이다. 하지만 주점에서 편하게 시킬 수 있는 서민주라는 점을 제외하면 막상 막걸리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세계에서도 손꼽을만한 술소비국이지만 그에 걸맞게 술 자체에 문화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가를 자문해보면 그에 대한 답은 부정적으로 보인다. 와인이나 샴페인 같이 이미 무국적으로 느껴질만큼 국제화된 술과 빗대지 않더라도, 우리의 술 중에서 일본의 사케가 차지하는 위상의 반만큼이라도 따라가고 있는 술이 있는지? 이러한 아쉬움에 답이라도 하듯, 단순히 소비대상으로 치부되어 버리기에는 술이 담아내는 많은 것이 아깝게 느껴지지 않느냐고 말하고 있는 책이 바로 이 '막걸리, 넌 누구냐?'이다.

그다지 두껍지 않은 책이지만 이 책에는 막걸리에 대한 거의 모든 것이 망라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막걸리라는 이름의 유래로부터 시작하여 그 역사, 탁주와 동동주가 막걸리와 어떻게 다른지, 막걸리를 빚는 과정, 막걸리의 효능, 전국의 유명한 막걸리에 대한 소개, 세계로 뻗어가는 막걸리의 새로운 도전 심지어 집에서 누룩을 만들어 막걸리를 빚는 방법까지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너무 많은 내용을 꽉꽉 채워나가다보니 답답하지나 않을까 싶었지만, 매력적인 붉은색 표지에 걸맞게 책 내부의 구성과 디자인도 세련되어 재미있게, 수월하게 읽을 수 있었다. 음식문화를 다루는 책이라면 빠져서는 안될 색조가 강조된 사진들의 향연에 눈이 즐거웠음은 말할 것도 없고 말이다. 가벼운 마음으로 읽을 수 있는 내용만 다루지 않고 막걸리 열풍의 원인에 대한 분석 및 발전과제 등을 제안하고 있는 점도 눈에 띈다. 가장 재미있었던 부분은 막걸리 칵테일 경연대회를 소개한 부분이었는데, 이 책의 추천인으로 책등에 소개된 허영만 님이 '식객'이라는 만화에서 다루었던 막걸리 이야기가 떠오르기도 했다. 

비껴나가는 이야기이기도 하겠지만 우리나라에는 고급 식문화의 전통이 그다지 남아있지 않은 점이 아쉽게 느껴지곤 한다. 특히 우리의 술은 친근감은 최고지만 세련됨은 부족하다는 인상을 받게 된다. 책 중에서 언급되었듯 일제 시대를 거치면서 가양주의 전통이 소실된 탓도 있겠고, 근래 수십년의 세월 동안 술에 대한 취향이 발달한 여건이 아니었던 탓도 있을 것이다. 사실 일본에서 소주와 막걸리가 많은 사랑을 받는다고 하지만, 그것은 이 술들이 저가주로 인식되는데서 기인되기도 한다. 친근감과 대중성도 강한 호소력을 가질 수 있지만 약점이 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어떤 문화든 두툼하지 않으면 오래 가지 않는 법이다. 굳이 새로운 막걸리를 개발하여 고급주로 어필하자는 것은 아니지만, 다양한 막걸리를 만들어내는데 힘쓰지 않으면 지금의 열풍도 단발로 그치고 말 위험이 있다. 물질문명이 발달하면 할수록 취향은 고급화하고 세분화하기 마련이라는 법칙을 잊지 말아야하지 않을지? '막걸리요~'라는 한마디에 선택도 없이 집어내오는, 1회용 페트병에 담긴 막걸리를 떠올리자니 아쉬운 마음이 앞서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