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 종말시계 - '포브스' 수석기자가 전격 공개하는 21세기 충격 리포트
크리스토퍼 스타이너 지음, 박산호 옮김 / 시공사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화석 연료 고갈의 문제가 논의된 지 적어도 수십년은 되었으리라 생각된다. 상식적으로 한정된 지구라는 공간 내에서 화석 자원이 유한하리라는 것은 얼마든지 예측 가능하니까.. 더하여 20년전 두 차례에 걸친 석유파동은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현대 사회의 취약성을 적나라하게 드러내주었다. '현실적인 고통'으로 말이다. 누구나 머리로는 알고 있지만 현실에서 살아가는 인간으로써는 어떻게든 외면하고 싶은 이 문제를 이 책은 직시하고자 한다.
 

이 책은 유가가 갤런당 4달러인 시대로부터 시작하여 6달러, 8달러, 10달러... 20달러에까지 이르는 동안 변화하는 우리의 생활상을 예측해보고 있다. 그렇다고 시대마다의 변화상을 모두 제시하는 방법을 택하지는 않는다. 유가가 상승함에 따라 가격경쟁력에서 한계에 부딪혀 붕괴해버리는 산업을 중심으로 하여 대체산업을 예지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예컨대 유가가 갤런당 10달러를 넘어가면 휘발유를 사용하는 자동차는 채산상 운용이 불가능해지므로, 대신 가격경쟁력이 있는 전기자동차나 기차가 대체운송수단이 될 것이라는 식이다. 무작정 디스토피아적인 세계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예측가능한 부분만을 짚어내고 있는 것이다. 보통 이런 유의 책은 불안감을 조성함으로써 독자를 유혹하기 마련이라 생각하고 있던 나에게 이런 점은 상당히 매력적이었다. 선동적인 내용은 흥미는 유발할 수 있어도 현실적으로는 해악을 끼치기 십상이니 말이다. 기자로써의 균형감각이 돋보인 부분이라 생각된다.
 

요컨대 저자는 석유기반산업이 붕괴함으로써 우리의 생활이 크게 바뀔 것임은 인정하지만, 삶의 양상이 비참해질 것이라고는 말하지 않는다. '분명 물질적 풍요로움은 감소할 것이지만 대신 물질에 밀려 사라져갔던 전통적인 삶의 가치들이 회복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으니 당연히 환경은 회복되어 가고, 원거리 이동이 불편해지므로 다시한번 집단적 가치들이 중시되는 사회로 변모해간다. 세계분업화로 죽어가던 국내산업들이 회복됨으로써 비록 양적으로는 적지만 질적으로는 뛰어난 제품들이 생산되기 시작할 것이다.' 석유기반산업의 붕괴가 파산을 가져오는 대신 대체산업이 발달하여 인구부양력을 유지할 정도로 연착륙할 수 있을지에 대해 작가는 애매하게 넘어가고 있지만, 작가의 이런 시각은 다른 의미에서 흥미롭게 다가오기도 한다. 이런 시각은 풍요를 행복과 등치시키는 물질문명에 대한 비판이자 말그대로 현재 '운명'이 되어버린 세계화에 대한 비판이 되고 있는 것이다. 세계화에 목숨걸던 사회는 석유종말시계가 똑딱거리며 흘러감에 따라 점차 더 큰 고통을 겪어야 된다는 아이러니.. 유쾌하다고 얘기하면 너무 심한 표현일까?
 

이 책이 얼마나 정확히 시대의 흐름을 짚어내고 있는지 나의 지식으로는 말하기 어렵다. 이런 내 눈에도 이곳저곳에 생략과 축소가 엿보인 점을 감안할 때 의심해볼 구석은 많을 것이다. 차라리 현대문명에 대해 비판하는, 혹은 대안을 제시하는 책이라는 표현이 적절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곳곳에 특유의 입담과 유머가 읽는 맛을 더해주어 수월히 읽을 수 있는 책이었으나, 철저히 미국 사회에 기반하여 분석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에 닿는 느낌이 떨어지는 부분도 적지 않다. 예컨대 교외생활과 자동차를 이용한 생활에 익숙한 미국인에게 석유인상이 가져올 생활상의 변화는 우리나라와는 많이 다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런저런 의미에서 주석이 많이 붙어야되는 책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하다못해 단위라도 마일/파운드 대신 킬로미터/그램으로 변환시켜주었더라면 읽기도 편하고 현실감이 더해졌을 것이다. 아쉬운 점도 있지만, 두려움 때문에 애써 외면하던 대상에 예측하지 못했던 면이 있었음을 보게 해주고 사고의 폭을 넓혀준다는 점에서 일독을 권하고 싶다. 이것이야말로 독서의 가장 큰 이로움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