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지 마, 죽지 마, 사랑할 거야 - 지상에서 보낸 딸과의 마지막 시간
김효선 지음 / 21세기북스 / 2010년 2월
평점 :
절판


인간이 결국 혼자라는 것을 죽음을 통해 알게 된다

죽음은 대신할 수 없고 죽음의 의미는 알 수 없다.

의식은 고립되고 닿을 수 있는 곳은 없다.

그렇기에 단절과 환원에 지나지 않는 죽음이 우리를 두렵게 한다.

죽음은 평등하다.

 

인간이 개인이 아니라는 것을 죽음을 통해 알게 된다.

타인의 죽음이 나의 영혼을 갉아먹는다.

나의 가족, 나의 연인, 나의 사랑하는 이들의 죽음은 나의 영혼에 빈 공간을 남긴다.

그렇기에 우리는 사후의 세계를 믿고 죽은 자와의 재회를 약속한다.

죽음은 불평등하다.

 

인간에게 죽음은 너무나 무겁다.

갑작스런 죽음이 가져다주는 슬픔도 말할 수 없이 큰데

사랑하는 이가 한걸음씩 죽음에 다가가는데 나는 아무것도 할 수 없을 때

그 무력감과 슬픔은 얼마나 큰가..

죽음을 본 이는 그 무게를 평생 짊어지고 살아야 한다.

왜 우리가 세계에 던져져서 누군가를 사랑하다 그가 스러져가는 것을 보아야 하는가..

죽음 앞에서 무슨 말을 더해야 하는가...

 

죽음 앞에서 우리는 타인을 이해한다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함께 눈물 흘리고 위로할 수 있을 뿐인 것..

서연이를 잃은 어머니의 슬픔에 함께 가슴 아파하며 그 아픔이 조금이라도 덜어지기를,

안식을 찾기를 기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