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있는 아침
김남조 외 지음, 이경철 엮음 / 책만드는집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저는 사실 시와 친한 편은 아닌 듯 합니다. 일단 보유하고 있는 시집이 4권 정도 밖에 안된다면 추측하실 수 있겠지요? 시집과 소설이 있으면 소설을 택하는 타입이라 할 수 있겠네요. 다른 분들도 그러신지 모르겠으나, 시는 머리로 이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일단 피하게 되더군요. 감성이 부족한 걸일까요... 혹시 그런 제가 가지고 있는 시집은 뭘지 혹시 궁금하시려나요? 류시화 님이 엮은 잠언 시집 2권과 백석 님의 시집, 그리고 대학 때 과제용으로 구매했던 시집 한권입니다. 잠언 시집이야 시라기 보다는 명상록에 가깝고 백석 님의 시집은 서정적이고 정경 모사를 주로 하기 때문에 다가가기 시집은 아니죠. 물론 이해하기가 쉬운 시집들도 많이 있겠지만 그런 시집은 매력적으로 느껴지지를 않더라고요. 궁금해하시지도 않을 신변 이야기는 이걸로 접도록 하고 그럼 이렇게 시와는 멀~리 떨어져 지내는 제가 과연 이 시집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말씀드려 볼까요?

 



 

일단 시집을 손에 들고 한번 주루룩 훑어보면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아름다운 사진, 사진, 사진입니다. 깜짝 놀랄 정도로 너무나도 아름다운 풍경사진들이 책의 여백을 가득 메우고 있죠. 게다가 시집을 읽어가다보면 이러한 사진들의 진가가 제대로 발휘되는데요. 이 사진들이 시의 내용에 맞추어져 삽입되어 있기 때문이랍니다. 예컨대 김용택 시인의 '섬진강 매화꽃을 보셨는지요'는 물에 떠있는 매화꽃잎의 사진과 어우러져 있고, 한기팔 님의 '먼 바다 푸른 섬 하나'는 안개 낀 새벽의 붉으레한 바닷가의 사진이 함께 하는 식이지요. 어찌보면 상투적으로 보일지도 모르겠으나, 시가 끌어올린 감성을 사진의 여운으로 이어가는 이러한 구성은 감동을 훨씬 오래 음미하게 만들어 주었습니다. 



 


시집에 담겨있는 시들은 - 제겐 너무나 다행스럽게도 - 주지적인 시보다는 주정적인 시가 대부분이며 상징적인 표현을 쓴 시도 적은 편입니다. 그래서 곱씹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지나치다 싶게 긴 시들은 없었습니다. 게다가 그리움의 정서를 담고 있는 시들을 중심으로 엮어냈기 때문에 모음집이라고 하기에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통일감이 느껴지더라고요. 그리고 80편 정도의 시 중에서 본 적이 있는 시는 10편이 안되고 시인의 이름이나마 들어본 시도 20편 정도밖에 안되었습니다만, 하나같이 주옥같은 시들이라 여태 이렇게 좋은 시를 모르고 지냈던 것이 억울하게 느껴질 정도였습니다. 시가 담아내는 정서가 너무나 순수하여 시인의 마음을 훔쳐오고 싶어지는데다, 그 정서를 전달하는 데 있어 더하거나 뺄 것이 없는 '딱' 맞는 표현들을 사용하는 것을 보노라면 경이로운 마음마저 들 정도입니다. 같은 사람인데도 이 시인들은 어떻게 이런 표현을 떠올려낼 수 있을까요? 부럽고도 놀라운 일 아닌가요?

  




시집을 덮고 불현듯 떠오른 것은 '시만큼 효율적인 언어가 없구나'라는 생각이었습니다. 다소 세속적인 표현이라 아쉽지만 50자도 안되는 짧은 글이 이토록 많은 감정을 불러일으킨다면 효율적이라는 말도 그리 틀리지는 않을 것입니다. 바쁜 생활 속에서도 단 5분의 시간이면 아름다운 세상이 나에게 다가와 주는걸요. 생활의 메마름에 마음이 바스러지고 있다고 느끼신다면 한편의 시로 감성을 퍼올려 보시는 것도 좋지 않을까요? 특히 이런 봄날에는 말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