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에게 가는 길 - 일곱 살에 나를 버린 엄마의 땅, 스물일곱에 다시 품에 안다
아샤 미로 지음, 손미나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전혀 새로운 사람이 한마디로 말해서 어제까지는 남이었던 아이가 내 가족이 되고 자식이 된다면 그 느낌이 어떨지 아직은 정확하게 상상은 하지 못하겠다. 하지만 단 한 가지 분명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마도 그것은 새로운 가족을 얻은 아이나 새로운 아이를 가진 가족이나 분명 큰 변화일거라는 사실이다. 그 변화에 적응하고 생김새는 인도 사람이지만 스페인의 사람으로서 자라난 아샤 미로의 자신이 태어난 곳 인도로 돌아가서의 이야기가 여기 있다.
도덕 교과서를 보면 정체성이란 말이 참 많이 나온다고 느끼게 된다. 한국인의 정체성 같이 쓰이기도 하고 뿌리라는 단어와 같이 등장하기도 한다. 정체성이란.., 나는 간단히 뿌리라고 정의했다. 아샤 미로의 인도행은 그 정체성이 무언의 작용을 한 게 아닐까 하고 나는 책을 읽는 동안 생각하곤 했다.
아샤 미로는 인도의 땅을 밟게 된 이유는 봉사 활동을 위해서였다. 우연히 아샤 미로의 손에 들어간 인도 시골 마을의 봉사 활동을 구한다는 NGO의 정보지는 그녀를 인도로 향하게 했다.
인도에 도착한 그녀의 여정이 이어진다. 그녀는 두 번 인도를 밟는다. 그러는 동안에 아샤 미로는 자신의 언니도 만나고 자신이 가졌던 부모님에 대한 오해도 풀고 자신을 대신 키워주었던 사쿠바이.. 나는 그 모든 것이 신기해보였다. 아무것도 없이 떠난 인도에서 조금씩 풀려나가는 자신의 어릴 때의 이야기. 그것을 알 수 있었던 아샤 미로는 행운아라는 생각도 든다. 자신이 버려졌다고 생각한 인도를 다시 찾은 아샤 미로의 용기 또한 대단하다.
아샤 미로는 일곱 살 때 스페인의 한 가족의 일원이 되는 변화를 겪었고 그녀가 다시 인도를 찾으면서 변화는 또 한 번 일어났다. 그 두 변화 모두 가족이다. 가족을 잃고 가족을 얻고. 아샤 미로의 인생은 이미 정해진 것이 더 이상 왈가왈부할 수 없지만 가족에 대한 그녀의 이야기가 나의 가슴이 뭉클하게 한다. 그 뭉클함의 또 다른 이유는 ‘엄마에게 가는 길’이 진솔한 에세이이기 때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