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의 물리학 - 탁상 블랙홀에서 양자 텔레포테이션까지 상상 초월 물리학의 세계
다케우치 가오루 지음, 꿈꾸는과학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책을 펼치는 그 첫 장부터 물리학에 대해 주절주절 떠들어대면 물리학에 대해서는 젬병인 사람들에게는 여간 가혹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이 책만큼은 달랐다. 프롤로그의 색깔도 다른 쪽들과는 다르긴 달랐어도 블랙홀처럼 사람을 휘어잡는 매력이 있었다. 탁상블랙홀 실용화에 대한 상상의 이야기. 상상이란 말도 들어있지 않아서 마치 실제 상황 같다. 무슨 말을 하든 간에 흥미로운 시작이다. 다른 책들과는 다른 시작. 책의 내용도 그렇게 흥미로움을 찰 것 같은 기대감의 시작.

밤의 물리학. 나이트 사이언스. 조명이 비추지 않는 깜깜한 무대와 같다는 그 과학. 밤이라는 글자 그대로 밤을 연구하는 즉, 우주를 연구하는 과학이라고 한다고 한다.

그래서 비밀스러운 분위기를 풍긴다. 우주가 가지고 있는 그 비밀들만큼이나 은밀하고 비밀스러운 내음에 한시도 책을 놓을 수가 없었다.

솔직히 내가 ‘밤의 물리학’이란 책을 얼마만큼이나 이해했는지 모르겠다. 하지만 글쓴이조차도 과학자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굳이 이해하고 넘어갈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그렇지만 나는 그 상태가 조금 심각한(?) 상태이기 때문에 가장 많이 걱정하는 부분이다. 과학의 이론으로써 설명하기 전에 드는 그 놀라움, 놀라울 미래들을 상상하느라 내 머리는 한 순간도 가동되지 않은 적이 없었다.

그 우주가 가지고 있는 사람을 놀라게 하는 속내는 별처럼 화려하기도 했고 그렇지 않기도 했다.

언젠가 탁상 블랙홀이 실제로 만들어지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 그 때가 되면 우리 인간은 자연은 동물은 어떤 모습을 가지고 있을지 기대가 되는 한편에 두렵다.

산업화의 물결에 따라 일종의 발명되어진 이 세계가 그다지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채 점차 나쁜 쪽으로 기울어지고 있는 모습을 보면 아직 미지의 세계 그렇기 때문에 발전가능성이 무한한 우주마저 그 초연의 모습을 없애버리는 것이 아닌가 하고 말이다. 탁상 블랙홀이 상상에서조차 재앙이 온 것처럼.

그런 불안해지는 마음을 다스리는 것은 역시 우주를 아는 즐거움이다! 작가는 과학자가 아니라 과학을 말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그의 말은 훨씬 더 이해하기 쉽고 맛깔스럽다.

물리학의 낮과 밤 중에서 밤으로 초대하는 ‘밤의 물리학’. 혹시 조명 받지 못한 무대의 모습을 궁금하셨던 당신이라면 이제 저 밤하늘로 시선을 돌려보는 것이 어떨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