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애무
에릭 포토리노 지음, 이상해 옮김 / 아르테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손에서 뗄 수 없는 두 가지 단계가 있다. 첫 번째, 화재사건. 그리고 사라진 어머니와 아들. 생판 모르는 남이지만 주인공은 그들을 알게 모르게 신경 쓴다. 이 사건이 소설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독자에게 충분히 흡인력을 발휘한다. 두 번째, 주인공이 한 아이의 아버지였을 때 아들과 나눈 아버지와 어머니로서의 사랑 이야기. 그리고 배신.

아버지는 기억을 떠올린다. 죽은 아들에 대한 추억들을. 그러는 동시에 아무렇지 않은 척 이기려고 한다. 아들이 탔던 유모차를 끌고 다니는 아버지. 그런 아버지는 죽은 아들을 위해 아들의 생전에 무슨 사랑을 주었는가? 아버지의 기억이 조금씩 아들의 죽음에 가까워질수록 기이한 아버지의 사랑은 극에 치닫는다. 홀연히 아이만을 남기고 돌아온 아내. 그리고 엄마를 찾아 아버지에게서 엄마를 찾던 아들의 변심. 점점 진짜 엄마를 찾는 아들을 보는 가짜 엄마이기도 했던 아버지.

사랑이 이렇게도 변질될 수 있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었다. 처음에는 사랑이라는 이름이었다. 그런데 나중에 돌이켜보니 그것은 어느새 사랑이 아니었다. 주인공이 아들에게 쏟은 사랑의 결말은 참담했다. 그 이야기를 보면서 올바른 사랑을 재정립할 수 있었다. 사랑도 지나치면 독이라는 사실을 소설을 통해 간접적으로 볼 수 있었다.

마지막 결말에서 아버지는 다시 어머니가 된다. 한때 콜랭을 위해 시작했던 연극. 맡은 역할. ‘붉은 애무’라는 립스틱을 바르는 주인공의 모습. 우리가 대충 예상할 수 있는 결말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 결말에서 얼마나 많은 생각을 가지게 되는가. 장점을 보면 그와 같은 사랑이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면서도 단점을 보면 사랑도 사랑나름이어야 되는 생각이 들었다.

사랑이 없는 어머니 밑에서 자란 주인공 펠릭스. 사랑도 사랑을 받아야 제대로 된 사랑을 배울 수 있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우리가 지금 누군가에게 주고 있는 사랑이 혹시 잘못된 것은 아닌지 혹은 주지 않고 있는 사랑을 주어야 되는지 생각해보아야 되겠다. 그러나 소설에서 말하는 그런 사랑이 아니기를 바라는 바이다.

비록 잘못된 사랑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사랑의 양면성을 동시에 생각하게 하는 작품이었다.

여자 아니, 어머니가 된 아버지 펠릭스의 붉게 칠해졌을 입술. 또 어떤 뜻을 내포하고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