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리와 나 - 온 가족이 함께 읽는
존 그로건 지음, 황소연 옮김, 김서진 그림 / 청림아이 / 2008년 8월
평점 :
품절



강아지는 흔히 가족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티비만 보아도 그렇지 않은 사람 또한 너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 내가 사는 이곳만 해도 그리고 내가 키우는 강아지만 해도 우리 가족에게 오기 전에는 사랑 한 번 못 받고 학대받던 아이이다. 사랑에 결여된 적어도 정에 목마른 우리가 ‘말리와 나’라는 책을 보면서 그런 우리에게 부족해진 부분들을 채울 수 있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사람이 굳이 아니더라도 같은 숨 쉬는 존재로서 사랑하는 것 또한 소중하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혼자 사는 노인 혹은 외로움이 많은 아이 등 그런 사람들에게 강아지나 다른 애완동물을 선물해 주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바로 사랑은 위대한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한다. 말도 하지 않는 동물에게서 이런 기대할 만한 효과가 나오는 것은 그리고 일부러 외로운 사람들에게 권해지는 것을 보면 우리 사회가 얼마나 메말라가고 있나를 보여주고 있는 한 사례라고 보여진다.

말리와 그 가족들의 이야기를 보면 나도 강아지가 열둘인 대식구를 거느리고 있는 집안에서 겪는 아주 소소한 일상까지 떠오르며 공감과 부러움 그리고 우쭐함이 번갈아 들며 보았다. 그리고 나는 내가 하는 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다.

밥을 챙겨주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끈덕지게 사랑 해주지도 않는다. 그런 나를 돌아보며 열둘이나 강아지 중 내가 일초의 관심이라도 제대로 준 적이 있는가 싶었다. 가끔 생각을 하지만 그렇다고 일부러 찾아가 놀아주지 않는다. 나의 역할을 조금 더 적극적인 것으로 바꾸어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것은 곧 더 발전되어 가정으로 직장으로 내 역할을 생각하고 반성하고 수정하도록 하지 않을까 싶다.‘말리와 나‘를 보면서 제일 부러웠던 게 말리의 나이이다. 우리 집은 최고 오래 살았던 아이가 5살이었다. 그래서 그 짧은 시간도 그렇고 아쉬움도 많이 남는 아이라 생각이 많이 났다. 그리고 ‘말리와 나‘의 가족들은 다시 말리를 만났다. 이 대목에서 또 얼마나 부러워 했던지.

강아지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강아지라는 존재를 다시 한 번 깊게 인식시키고 관심 갖게 하고 또 나처럼 강아지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더 애정 어린 마음이 들게 하는 좋은 책이었던 것 같다.정말 온가족이 읽으면 더 좋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