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은 그 자리에 - 첫사랑부터 마지막 이야기까지
올리버 색스 지음, 양병찬 옮김 / 알마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에게 박물관, 도서관들이 얼마나 큰 꿈의 공간인가를, 엄마들이 바리바리 챙겨서 아이들을 문화공간으로 데리고 다니는 일은 과학자로 성장하지 않더라도 다양함을 제공하고, 언제든 그것들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취주는 일로, 애써서 할만한 일이다 싶다. 국립박물관 복도 바닥을 제 집처럼 뒹굴던 아이들을 넉넉히 봐주는 이유일 것이다.
틱장애가 암 보다 무서운 병이라는, 사고로 겉은 멀쩡해도 정신병을 앓게 될 수도 있는데 세상엔 이런 일들을 신의 다양성의 섭리로 받아들이며 아무 일 없이 공존하는 마을도 있단다. 잘 사는 나라에 산다는 것은 이런 나라로 산다는 것일게다.
과학자의 세계를 들여다 보는 일은 잘 아는 세상과 모르는 세상을 동시에 보는 즐거움이 있다.

‘사춘기에는 자다가 심지어 거대한 목성woody dub moss과 쇠뜨기나무horsetail tree, 태곳적 겉씨식물 숲이 지구를 뒤덮고 있는 꿈을 꾸기도 했다. 그리고 그들이 오래 전에 멸종하는 바람에 밝은 색깔의 최신식 꽃들이 지구를 점령했다는 생각을 하면 울화통이 치밀곤 했다.‘

‘뇌/마음이 결코 자동적이지 않은 이유는 (지각적 수준에서부터 철학적 수준에 이르기까지) 모든
수준에서 세상을 범주화/제범주화하는 한편, 자신의 경험을 이해하고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늘 노력하기 때문이다. 경험은 획일적이 아니라 늘 변화하고 도전적이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더욱 더 포괄적인 통합을 요구한다는 게 ‘진짜 삶‘을 사는 것의 본질이다. 뇌/마음은 평생동안 탐구하고 전진해야 하며, (심장처럼) 다람쥐 체바퀴 돌듯 작동하며 획일적인 기능을 유지해서는 어림도 없다. 우리는 건강이나 웰빙이라는 개념 그 자체를 뇌와 연관지어 특별히 정의할 필요가 있다.....뇌가 건강하려면, 최후의 순간까지 활발하고 경이로워하고 놀고 탐구하고 실험해야 한다. ..... 노년(90)에 적절한 단계인데, 에릭슨 부부는 그 단계에서 성취해야 할 전략이나 해법을 지혜wisdm 또는 고결함integrity이라고 불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