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피쉬
대니얼 월리스 지음, 장영희 옮김 / 동아시아 / 2019년 11월
평점 :
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버지는 누구인가?' '과연 우리는 아버지에 대해서 얼마나 잘 알고 있을까?' 이 책이 독자에게 던지는 질문들이다.
.
"미소 짓는, 신비로운, 신화와 같은, 그리고 알 수 없는 나의 아버지." (187p.)
.
'윌리엄'은 아버지 '에드워드'의 죽음이 임박한 시점에 아버지와 함께 여행을 떠나는 것으로 소설이 시작한다. 어린시절에는 허무맹랑한 우스개 소리로만 들렸던 아버지의 자랑 섞인 이야기가 따분하고 듣기 싫었지만, 이제야 뒤늦게 아버지의 삶의 여정을 알아가려고 시도한다.
.
결국 그는 집안에서는 왜소해 보이고 이방인 같았던 아버지가 밖에서는 아주 위대한 영웅이자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는 존재였다는 것을 알게되는데...아버지의 진면목을 깨닫게 되는 순간 아버지는 '빅 피쉬'로 새로 태어나게 된다는 이야기다.^^
.
.
"진정 사람을 위대하게 만드는 것이 무엇인지 너는 아니?" (...) 한 남자가 자기 아들의 사랑을 받았다고 한다면, 그 사람은 위대하다고 해도 좋지 않을까요?"(37-38p.)
.
위의 아버지와 아들의 대화는 아주 의미심장하다. 우리는 왜 가까이에 있는 사랑스러운 가족들을 제쳐두고 왜 저 멀리에 있는 그 누군가에게 인정받으려고 방랑하는가...?
.
사회적으로 성공했다는 인정받는 사람들이 유독 가정에서는 인정을 못 받는 경우가 많은데, 진정한 성공은 가장 가까이에 있는 사람들의 지지 혹은 후원에서부터 출발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
당장 오늘이라도 나와 같은 유년시절, 청년시절을 보냈던 아버지가 어떠한 삶을 살았는지 한번 생각해보는 것은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김초엽 지음 / 허블 / 2020년 1월
평점 :
판매중지


정말 대단한 SF소설이다. '인간배아'라든지, '외계 생명체'와의 교류, '우주여행' 등에 대하여 누구나 상상을 할 수는 있지만, 김초엽 작가는 거기에 과학적 디테일과 따뜻한 감성을 추가하여 멋진 스토리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

7개의 단편이 40-50페이지 정도의 분량으로 구성돼 있어 지루하지 않고 읽기에도 참 좋다. 파스텔 톤의 책표지에서도 느껴지지만 공상과학적인 소재를 때론 소녀감성으로 때론 애틋한 감성으로 잘 풀어냈다. 특히 예전에 읽은 <마션> <아르테미스> 테드 창의 <숨>같은 SF소설보다는 읽기 쉽고 공감도 많이 돼 더 좋았다.
.
<스펙트럼>과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은 읽으면서 영화 인터스텔라가 생각난 애틋한 단편이었다. 특히, 내가 가장 맘에 들었던 <공생가설>은 수만 년전부터 외계생물체가 인류의 뇌에 인류가 공생을 해서 유년기를 지배한다는 가설 하에 쓰여진 작품인데, 우리가 유년기의 기억을 잃어버리는 것은 뇌에 있던 외계생물이 떠나서이다...? 작가의 상상력이 정말 기발하고 대단한 것 같다.
.
우리나라에도 이렇게 좋은 SF소설이 출간된 것은 아주 고무적인 현상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들고, 김초엽 작가의 다음 소설도 정말 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자의 뇌, 남자의 뇌 따윈 없어 - 송민령의 공감과 소통의 뇌과학
송민령 지음 / 동아시아 / 201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남자의 뇌, 여자의 뇌는 과연 다를까?"
.
"결론부터 말하면 전형적인 여자의 뇌, 전형적인 남자의 뇌 따위는 없다. 어떤 사람의 두개골에서 뇌를 꺼내서, 뇌만 보고 남자인지, 여자인지 맞힐 수가 없다는 의미다."(220쪽)
.
흔히 여성이 더 감정적이고, 남성이 이성적이며 공간지각 능력이 뛰어나고, 일반인은 뇌의 10%밖에 사용하지 않는다는 편견 혹은 낭설이 횡행하는데...저자는 여러가지 연구결과를 보여주며 그것은 사실이 아니며, 우리는 사실 뇌에 대해서 잘 모른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잘 알려준다.
.
대신에 저자는 이 책에서 대체 뇌과학이 무엇인지?
우리의 뇌가 어떠한 것(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그래서 우리는 뇌를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더 나아가 우리가 가짜과학에 휩쓸리지 않는 노하우까지 알려준다.
.
"뇌과학에 대한 지식이 자랑하기 위한 명품 핸드백 같은 것이 아니라, 삶 속에서 생동하게 맥동하는 무언가가 되기를 바란다. 뇌과학을 통해 나를 이해하고, 너를 이해하고, 인간을 이해하며, 이런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가 어떻게 살아갈지 함께 찾아갈 수 있도록." (머리말 중에서)
.
"과학에 대한 깊은 이해와 인간 사회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이뤄지려면 시민과 소통하는 과학, 과학과 소통하는 시민이 필요하다." (269쪽)
.
우리 한국사회는 IT선진국이라는 명성에 걸맞지 않게 여전히 수천 년간 내려온 토테미즘 & 샤머니즘의 사고방식 안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제는 우리도 그 케케묵은 굴레를 벗고 과학을 기반으로한 사고를 해야할 때가 된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자의 뇌, 여자의 뇌는 과연 다를까?"
.
"결론부터 말하면 전형적인 여자의 뇌, 전형적인 남자의 뇌 따위는 없다. 어떤 사람의 두개골에서 뇌를 꺼내서, 뇌만 보고 남자인지, 여자인지 맞힐 수가 없다는 의미다."(220쪽)
.
흔히 여성이 더 감정적이고, 남성이 이성적이며 공간지각 능력이 뛰어나고, 일반인은 뇌의 10%밖에 사용하지 않는다는 편견 혹은 낭설이 횡행하는데...저자는 여러가지 연구결과를 보여주며 그것은 사실이 아니며, 우리는 사실 뇌에 대해서 잘 모른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자세히 알려준다.
.
대신에 저자는 이 책에서 대체 뇌 과학이 무엇인지?
우리의 뇌가 어떠한 것(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그래서 우리는 뇌를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더 나아가 우리가 가짜과학에 휩쓸리지 않는 노하우까지 알려준다.
.
"뇌과학에 대한 지식이 자랑하기 위한 명품 핸드백 같은 것이 아니라, 삶 속에서 생동하게 맥동하는 무언가가 되기를 바란다. 뇌과학을 통해 나를 이해하고, 너를 이해하고, 인간을 이해하며, 이런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가 어떻게 살아갈지 함께 찾아갈 수 있도록." (머리말 중에서)
.
"과학에 대한 깊은 이해와 인간 사회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이뤄지려면 시민과 소통하는 과학, 과학과 소통하는 시민이 필요하다." (269쪽)
.
우리 한국사회는 IT선진국이라는 명성에 걸맞지 않게 여전히 수천 년간 내려온 토테미즘 & 샤머니즘의 사고방식 안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제는 우리도 그 케케묵은 굴레를 벗고 과학을 기반으로한 사고를 해야할 때가 된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구해줘 카카오프렌즈 한국사 2 - 큰★별쌤 최태성과 떠나는 초등한국사 대탐험 구해줘 카카오프렌즈 한국사 2
최태성.조윤호 지음, 도니패밀리 그림 / 메가스터디북스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만큼 흥미로운 이야기가 있을까? 이 책은 카카오프렌즈 캐릭터를 활용하여 조선시대 역사를 소개해준다. 광해군이 와 중립외교를 했는지, 실학이 왜 등장했는지 등등에 대하여 아주 쉽게 재미있게 풀어서 쓰여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