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은 어떤 어머니입니까
루이 쉬첸회퍼 지음, 이수영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05년 4월
평점 :
절판
우 공격적인 제목의 책으로... 본문도 신랄하게 망설임 없이 서술하고 있었다. 아마 대부분의 어머니들이 책을 펼치면 꽤나 불편해 하실지도 모르겠습니다. 책의 서두에서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어머니의 신화'에 대해서 그리고 어머니를 크게 4가지 분류해서 책을 진행하고 있었다. '권력형 어머니', '희생형 어머니', '자기도취형 어머니', '애정결핍 어머니'. 그리고 이어서 아버지의 역활에 대해서 다루고 어머니와 관계극복하기 파트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사실 어머니에 대한 분류는 굉장히 충실한 반면에, 7장에 해당하는 어머니와 자녀의 관계 극복하기에 대해서는 좀 내용이 빈약한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읽은지 꽤나 오래된 책이라서... 1년이 지난 지금 포스팅을 하는 시점에는 별로 기억에 남는 내용이 없는 걸로 봐서는 주관적으로 느끼기에 관계 극복이나 완화를 위해서 크게 닿는 대안은 없었던것 같다.
다만 어머니에 대한 분류는 참으로 유의미 하다고 느꼈다. 특히나 이 책은 자신이 특히 엄마에게 받은 부정적인 느낌들에 대해서 전면적으로 부정하거나 엄마와 함께 했던 과거에 대해서 신화화 하는 사람들에게 권하고 싶습니다. 부모의 양육태도의 문제점에 대한 책들은 이전에 읽어서 크게 도움이 되었던 앨리스 밀러의 저작에서 굉장히 큰 지원을 받았던 관계로... 이 책을 보면서 그런 부분의 지원을 받는 편은 아니지만, 꽤나 일목요연하게 분류했구나 하고 생각했었다.
아쉬운 점이라면 한가지 유형의 어머니 뿐만 아니라 책에서 정의 하는 4가지 분류의 어머니 형중에 하나만이 아니라 여러가지가 합쳐진 형태의 어머니에 대해서도 다루었으면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들었다.
서두를 읽으면서 받았던 느낌은 서양에서도 어머니의 신화로 인하여 많은 어려움이 있구나~ 하는 느낌. 사실 18-19세기에 들어서 모성신화에 대해서 만들어지기 시작했지... 그 이전은... ㅎㅎㅎ (웃습니다) 그런게 있던가영? 언제부터 모성신화가 존재했다고? 암튼 이부분에 대해서 생각하면 기가 찰 노릇이지만, 남성들(특히나 생각나는 양반은 루소씨. 너나 잘하시죠. 자기 쉑기들은 다 고아원에 버린 주제에 참 그런 텍스트들은 어디서 ...)이 가정에서 밖으로 나가서 자신의 존재에 대해서 확인하려고 하는 많은 상류층 여성들을 다시 집으로 돌아가는 것을 독려하는 것은 성공했으나, 그에 따른 후속 조취가 거의 없었던 관계로... 육아를 통해서 자신을 확인하고 사회에서 인정받는다고 하지만, 그런게 얼마나 있어왔던가. (먼눈) 대부분 여성이 주체로 활동하는 노동에 대해서는 '가사노동화'를 하여서 사회에서 하는 노동에도 그 가치와 임금에 대해서 평가 절하를 하는 것이 분명히 존재하는 사실이니까 말이다. 애시당초 자신을 존중하지 않는 사람이 타인을 존중하는 것이 가능할까 하는 의문이 있지만...
저자가 말한 '부재중인 아버지들'에 대한 책도 있으면 참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양육에 대한 의무를 부모 한쪽 성에게 과다하게 부가하여 죄책감을 일으키고, 양육을 하고 있음에도 지속적으로 느끼는 죄책감, 불안. 이것은 결코 부모의 한쪽성만이 도맡아서 해야 할 부분으로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반대쪽인 성에게도 가정의 책임감에 대해서 과도하게 부과하고 스스로도 과도하게 느끼는 지금의 구조는 구조적으로도 매우 병폐적인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곤 합니다. 익숙하다고 해서 그게 반드시 올바른 것이고 쉬운 것이고 편한 것은 결코 아니지요.
서로가 가장 어려워 하는 부분을 서로에게 나눔으로서상대방에 대해서 좀더 이해하게 되고 서로가 가지고 있는 부담을 나눌 수 있다면, 이보다 더 좋은 이상은 없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다만 그 어려운 길을 누가 앞서서 걸어가고... 그리고 그 길이 상대방을 일방적으로 매도하고 희생하는 것이 아니라 너의려움도 알고 나의 여려움도 분명 존재하는 그런 길로 많은 사람들의 인지를 바꾸는 것은 참으로 어려울것 같아요. 그만큼 우리가 취약하고... 문제가 정말 많구나 하는 생각도 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살아있다면 앞으로 나아가려는 노력은 결코 두손에 놓아 버리는 것은 하지 말아야 하겠죠. 우리들의 내일을 위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