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만들어진 모성 ㅣ 동녘선서 102
엘리자베트 바댕테르 지음, 심성은 옮김 / 동녘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굉장히 흥미로우면서도 괴로웠던 책이었어요. 이 책은 근데 이전에 사람들이 육아에 대해서 어떤 태도를 취했는지에 대해서 굉장히 상세하게 알려주는 동시에 '모성'이라는 환상에 여자들을 어떤 방식으로 넣어서 가정으로 보냈는지 잘 알 수있었던 책이었습니다. 현재 만들어진 '모성'에 대한 이미지는 얼마나 역사가 짧은지 그리고 어떤이들의 환상을 반영해서 만들어졌는지에 대해서 차근차근히 이야기하고 있었습니다. 뭐 그 시기에 교육학에 대해서 주절주절 떠는 학자들의 자신의 책과 자신의 실제 육아의 패턴과는 상당히 거리가 있음을 알고 있었지만, 뭐 또 그 부분에 대해서 접하니까 화가 좀 나더군요.
덕분에 기숙학교가 만들어진 이유라던가 그런 별로 알고싶지 않았던 정보까지 알게되었습니다. 책을 읽으면서 내내 굉장히 슬프다는 느낌을 받았었고, 그리고 여성이나 아이들이나 모두 안됐다는 느낌도 받았습니다. 문체 자체는 담담하게 묘사하는 방식이라서 감정적인 접근을 어떻게 보면 차단하는 방향의 문체였는데도, 그 시절 아이들을 다루는 그 잔인성이 희석되거나 그런건 아니었습니다. 담담해서 오히려 더 강조가 된다고 해야할까요? 뭐 저는 그랬었어요. 강가에서 많은 영아들이 그대로 죽어갔다는 이야기나 출산후 유모에게 보내는 그 먼길에 수레에서 떨어져서 죽는 아이들에 대한 이야기나 아이들을 방치한 유모나 마찬가지로 아이들을 유기 또는 방치한 부모들에 대한 이야기 외에 다른 많은 이야기들은 읽으면서 내내 괴로웠습니다.
그리고 상류층의 여성들이 자신을 완성하기 위해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갔는지에 대한 부분도 그리고 그렇게 자신을 완성하려 했지만, 결코 얻고자 하는 것의 그 본질을 얻지 못했다는 사실 또한 슬프더군요. 아이들은 뭔 죈지;;; 암튼 이책은 읽으면서 괴로워서 굉장히 뜨믄뜨문 읽은 책 이었어요. 번역도 굉장히 잘되었고 그랬지만, 저는 그 아이들의 고통이 멀게 느껴지지 않아서 그랬는지 뭐... 이 양반의 다른책들도 찾아볼 예정인데 용기가 생기면 <남자의 여성성의 편견의 역사>를 읽고 다시 이 책을 도전해보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