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의 완벽한 가족
최이정 지음 / 담다 / 2025년 7월
평점 :
거의 완벽한 가족
최이정 소설 / 도서출판담다
<거의 완벽한 가족>은 우리가 잊고 지낸 질문과 마주하게 합니다.
가족은 무엇으로 연결되는가.
함께 살아간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 기록디자이너 윤슬
------------------------------------------------------------------
이 책을 읽으며 가족이란 무엇인가,
가족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게된다
어렸을때만해도 엄마, 아빠, 아이들로 구성된
3인, 4인 가족이 일반적인 가족구성원이었는데
지금은 정말 다양한 형태의 가족들을
주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다
한부모 가족, 조손 가족, 재혼 가족, 다문화 가족 등등...
완벽하다, 일반적이다라는 틀 안에 들어가지 않는다고 해서
나와 조금 다른 모습이라고 해서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며 말과 행동으로 상처주는게
과연 함께 살아가는 사회에서
올바른 모습인지 곰곰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완벽한 가족의 모습으로 살아가던 지원,
부모님 속 한번 썩인적 없는 모범생 착한 딸이었는데
고3때 뒤늦게 찾아온 사춘기로 인해
지원의 삶은 아주 다른 모습으로 변해버린다
좋아하는 남자아이가 생기고 어느날 임신했다는 걸 알게되지만
함께 고민을 나누고 책임지고싶어했던 지원이와 달리
남자아이는 그 상황을 회피해버린다
결국 집에서 사실을 알게되고 부모님은 아기를 지우라고 하지만
그 과정에서 지원이의 마음은 전혀 돌아보지 않고
자신들의 체면만 생각하는 모습에 지원이는 상처를 받는다
집을 나가 미혼모센터에 들어가 예쁜 딸 봄이를 낳고
봄이를 잘 키우기 위해서 검정고시를 보고
열심히 아르바이트를 하며 하루하루를 살아낸다
어느새 자라 어린이집에 다니게 된 봄이
하지만 같은 반 친구 현우가
아빠가 없다는 이유로 반쪽 가족이라고 놀리고
말을 더듬는다는 이유로 친구들에게 왕따를 당한다
*p185
"민아야, 나를 아껴주는 분들이 옆에 다 계셨네. 나를 다시 살아가게 해 준, 이렇게 좋은 분들이 많았는데, 미처 몰랐다. 야, 네 덕에 깨달았네, 고맙다. 김민아"
자신때문에 봄이가 상처받는것 같아 괴로워하던 지원
하지만 지원은 더이상 혼자가 아니었다
사회에 나와서 만난 따스한 사람들덕에
위로를 받고 용기를 내서 자신의 꿈에 도전한다
어쩌면 가족이란 피를 나눈 혈연관계로 이루어져
한 지붕 아래 살아가는 그런 일차적인 관계보다도
꼭 법적으로 혈연관계로 묶이지 않더라도
진심으로 서로를 걱정하며 서로 아끼고 사랑하는
그런 관계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모든 것이 엉망이 되었을 때, 흔들림 없이 곁에 있는 사람들
- 그들이 바로 당신의 가족입니다.
제일 앞에 나와있는 이 문장이 참 따스하게 느껴진다
우리곁에 있는 소중한 사람들에게
고마움을 전할 수 있는 용기를 내보는 하루가 되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