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DHD와 함께 살아가는 여성들
크리스티네 카를 외 지음, 강민경 옮김 / 북스힐 / 2025년 7월
평점 :
ADHD와 함께 살아가는 여성들
크리스티네 카를, 이스메네 디트리히,
크리스타 쾬트게스, 슈반트예 마티스 지음 / 북스힐
ADHD는 여성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이제껏 드러나지 않은 실체를 찾아서
------------------------------------------------------------------
독일 프라이부르크에서 활동중인 ADHD 전문의료진 네 사람이
ADHD인 여성들과 ADHD인 딸을 둔 부모들에게
전하는 중요한 메시지들을 담은 책!
언젠가부터 방송에서 자주 쓰이더니
이제는 우리 일상속에서 자연스럽게 사용되는 ADHD라는 말
우스갯소리로 조금만 산만하고 과장된 행동을 하면
쟤 ADHD 아니야? 라는 말을 할 정도로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해져버린 ADHD
이 책을 읽으며 생각해보니
지금까지 우리가 접한 ADHD는 대부분 남자들이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었다
2025년을 살아가고 있는 지금
여자들의 권리가 전보다 많이 나아졌다고는 하지만
은연중에 남자는 이렇지, 여자는 이렇지 라는 식으로
고정된 개념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나 돌아보게된다
나도 큰아이가 어릴때
활동량이 넘치고 계속해서 돌아다니는걸 보며
얘는 아들같은 딸이라고 자주 얘기했었던 기억이 문득 떠올랐다
똑같이 ADHD인데도 남자에 맞춰진 기준 때문에
뒤늦게 자신이 ADHD때문에 힘들었다는 걸 알게되고
자라는동안 계속해서 그런점들을 숨기려 애써야했던 여자들..
그들은, 또 그들의 부모들은
그 과정에서 얼마나 힘들고 얼마나 상처받았을까?
*p12
ADHD인 여성들이 너무 늦게 진단을 받거나 평생 아예 진단을 받지 못하면 매우 중대한 결과가 뒤따른다. 이들은 자신이 겪는 어려움과 실패가 ADHD에서 기인한 것이 아니라 스스로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해, 살면서 끊임없이 자책하며 부정적인 자아상만을 얻는다.
일상을 살아가면서, 학교나 직장생활을 하면서
ADHD로 인해 겪게되는 수많은 문제들
그리고 그들을 바라보는 주변 사람들의 시선까지..
똑같이 정리정돈을 못하고 체계적이지 못했을때
남성은 산만하다거나 부주의하다는 평가들 듣고
그의 연인이나 아내, 비서, 조수 등
주변의 여성들이 대신 모든 것을 정리한다
그런데 산만하고 부주의한 여성은
주변으로부터 뭔가 부족하다거나 손이 많이 가고 무능하다는
여자인데 왜 저러지? 라는 시선을 받는다
이런 부분들이 계속해서 지적되는데
읽으며 마음이 참 안타까웠다
충동적이고 부주의하고 집중하기 힘들고..
ADHD로 인해 여러가지 어려움을 겪지만
분명 자신이 가진 능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는 방법은 있다
*p159
잘 못 하는 일을 지적하기보다 앞으로의 잠재력을 강화하는 편이 어린이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ADHD인 사람 또한 적절한 지원과 도움을 받기 위해서는 본디 가진 자원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바라보는 시선을 조금만 다르게 하면
내가 가진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그쪽으로 나아가면 된다
예를 들어 집중 대상이 자주 바뀌고 체계적이지 않은 단점을
창의력, 다양한 아이디어가 있으며
열정적이고 활력이 넘치는 장점으로 바꾸어 볼 수 있다
요즘은 다양한 치료 방법들이 있으니
무엇보다도 자신이 겪는 어려움을 혼자 숨기기보다는
주변 사람이나 전문가에게 이야기하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꼭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