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나무로 만든 집 ZERI 제리 과학 동화 14
군터 파울리 글, 파멜라 살라자 그림, 이명희 옮김 / 마루벌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하나보다는 둘이 좋다고들 하지요. 아이가 학교에 이제 막 들어가서 그런지 항상 친구나 짝꿍하고 다투고 돌아온답니다. 누가 이랬어~ 저랬어,,, 내 이야기를 안 믿어 주잖아,,, 그러더라구요. 늘 불만 가득한 아이랑 같이 읽어 본 책이랍니다. 책을 읽으면서 생태지능을 자극해주는 이야기 라고 하니깐요~ 1학년인 아들 녀석이 얼마나 내용을 이해할런지는 좀 의문이긴 합니다~

이책의 이야기는 이렇게 시작한답니다. 대나무가 슬피 울고 있었어요. 아누도 날 좋아하지 않아요~ 세계 어디데나 대나무로 집을 짓는 사람들이 있잖아~ 대나무를 아보로코 아저씨가 위로해 주었답니다. 하지만 돈을 벌기만 하면 더 이상 나를 좋아하지 않아요. 사람들은 강철 뼈대와 시멘트로 만든 집을 좋아하잖아요~ 강철과 시멘트와 대나무 이 세가지로 집을 지으면 어떨까? 하지만 사람들은 세가지를 섞어 쓸 수 없다고 햇지요~ 하지만 대나무 안에 시멘트를 넣어 굳희 가음 실험을 해봤는데 강해졌답니다. 둘이 가진 장점을 모으면 좋은 짝꿍이 딜 수 있어. 에보로코 아저씨는 그렇게 말했답니다.

찬영이는 둘이 합쳐져서 더 강한 모습으로의 변신이 조금 멋져 보였나 봐요~ " 엄마엄마,, 정말, 둘이 잘 합체를 한것 같아,,," 마치 장난감 로봇을 합체한 기분으로 이야기 하더라구요. 대나무를 직접 많이 만저보지 않아서 대나무를 만져 보고 싶다고 이야기 했답니다.

그리고 책의 뒷 부분에는 이렇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 그리고 알고있었나요? 생각해보아요. 스스로 해보아요.를 통해 ...

왜 사람들은 집 짓는 재료로 강철이나 시멘트를 좋아하는지..아이들과 이야기 나눠볼 수 있어요.


 

초등 학교 1학년인 찬영이은 이 책을 읽고 이렇게 독서록을 작성했답니다.

대나무야 속상해 하지마! 자기를 않좋아한다고 울지마.... 어짜피 잘리면 니목숨은 끝이야. 그러니까 강해지고 싶다고? 그러면 페인트칠을해! 그러면 강철보다 세질지도 몰라. 사실 거짓말 일수도 있어.... 난 잘몰라. 대나무로 만든 집이 있으니깐 속상해 하지마. 언젠가 너도 주인이 잘라서 쓸지도 몰라. 그러니까 열심히 크고 힘도 강해지고!! 나도 그렇게 소원을 빌을께!!

ㅎㅎㅎ 1학년인 찬영이는 대나무가 슬퍼 하는것이 무척이나 안쓰러웠나 봅니다. 하지만 대나무속에 시멘트를 넣는건 대나무가 족는것 같다고 아이는 싫어 하더라구요. 속이 비어서 약할 수는 있지만 대나무가 죽는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했답니다.

그래서 다음날 휴지속에 신문지를 넣은것과 넣지 않는 휴지심의 강도를 실험해 보았답니다. 아이가 둘의 장점이 뭉치면 강해지는 것 보다는 생명에 더 신경을써서 생명이 아닌것으로 실험해 주었어요~~

개인적으로 저는 제리과학동화책은 처음 만났답니다. 그리고 <제리과학동화 시리즈> 중 새로 2차분이 출간되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글을 지킨 사람들 - 세종 대왕부터 헐버트까지
김슬옹 지음, 이량덕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3년 10월
평점 :
품절


우리나라 한글의 소중함을 어른인 엄마들도 잘 모르고 있다지요~ 반성해야 할것 같아요. 한글보다는 요즘은 말에 영어를 섞어 써야 있어보인다고들,,, 하니,,,, 우리 말인 한글이나 제대로들 잘 알고 사용했으면 한답니다. 한동안 사라졌던 한글날도 다시 쉬는 날로 정해서 그 날의 의미를 알아보라는 깊은 뜻이 있는데 단순히 공휴일로만 알고 넘어가니 조금은 속상하기도 하답니다. 그런의미에서 아이랑 이책으로 한글을 지킨 사람들을 알아볼 수 있었답니다.

우선 저자는 이책의 이야기를 12분의 이야기로 구분해 두었답니다. 엄마인 저도 이번에 한글의 의미를 제대로 알 수 있었지요. 한글은 매우 과학적인 글자로 한글의 자음과 모음으로 무려 11,172 글자를 만들 수 있다고 한답니다. 한글의 창제 원리, 훈민정음에는 해례본이 있고 그것은 세종이 직접 쓴 정음과 집현전의 학사들이 쓴 정음 해례로 되어 있다는 것부터 시작해서 한글의 보급에 대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어요. 한글이란 이름은 '오직 하나의 큰 글' 이라는 의미로 1910년 무렵에 주시경 선생에 의해서 만들어진 이름이라고 하네요.

그리고 한글을 알리고 지킨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랍니다. 세종 대왕, 정의 공주, 세조, 신숙주, 성종, 최세진, 허준, 김만중, 주시경, 최현배, 이극로, 헐버트. 제가 알고 있는 인물들도 있었지만, 처음 이름을 들어보거나 한글과 관련되었으리라 생각하지 못한 인물들이 있었답니다.


이책으로 알게된점이 있어요~ 조선 중종 때 최세진 선생이 자음에 '이'와 '으'를 넣어 자음의 이름을 만들었고, 오늘날 사용되는 자음과 모음의 순서도 만들었다고 한다네요. 최초의 한글 소설 홍길동전을 쓴 허균 선생에 대해서도 많은 내용이 나온답니다. 홍길동이란 도적은 조선 연산군 때에 실존했던 도적으로 조선왕조실록에도 그 기록이 있답니다. 그리고 최현배라는 위인의 이야기도 이번에야 자세히 알게되었답니다.

초등학교 4학년인 현진이는 이책을 읽고 이렇게 독서록을 작성했답니다.

이챡은 한글에 대하여 한글과 관련된 위이들에 대해 나왔다. 이책의 줄거리는 이책에는 12명의 한글과 관련된 사람들이 나온다. 그리고 우리말을 소중히, 아껴쓰고 사랑해야 한다고 나와 있다. 나는 이책에서 가장 기억에 남은 인물은 최현배 이야기 이다. 왜냐하면 나는 우리나라 문법을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마침 우리말 문법을 완성시킬 뿐만아니라 한글 전용을 완성시켰기 때문이다.내가 생각하기에 이책의 장점은 내가 알지 못하고 있었던 한글의 관련된 사람들을 알 수 있고, 자신의 반성을 알 수 있으며 한글에 대하여 알 수 있다는 점이다.

현진이는 이렇게 12명의 위인들과 그 분들이 한글을 위해 노력한 점과 더 아끼며 완성해 간 점을 알 수 있었답니다. 엄마인 저도 이 책으로 한글의 의미와 만들어진 과정과 그 속의 과정을 알 수 있는 좋은 시간이였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법천자문 26 - 포효하는 맹수! 사나울 맹(猛) 손오공의 한자 대탐험 마법천자문 26
올댓스토리 지음, 홍거북 그림, 김창환 감수 / 아울북 / 201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정말 새책이 나올때마다 두 아이들이 흥분하듯이 책을 본답니다. 빨리 다음권이 나왓으면 하는데요 기다리기 힘들다고요. 신간 책이나오면 친구들에게 자랑하고 빌려주기 이번에는 싫다네요~ ㅎㅎㅎ 보고싶은 사람은 사서 보라고 이번 책은 아직 아누도 안빌려주고 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법천자문 25 - 빈틈없이 막아라! 방패 순(盾) 손오공의 한자 대탐험 마법천자문 25
올댓스토리 지음, 홍거북 그림, 김창환 감수 / 아울북 / 201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큰아이랑 작은 아이가 모두 너무나도 좋아하는 책이랍니다. 친구에게도 빌려주고 아느 동생에게도 빌려주는이책의 이른은 마법천자문이지요~ 매권매다 새롭게 변하는 한자 카드도 아이들에게는 모으는 재미도 있고 보면서 한자를 알아가는 모습이 재미나게도 하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법천자문 24 - 구석구석 찾아라! 찾을 방(訪) 손오공의 한자 대탐험 마법천자문 24
올댓스토리 지음, 홍거북 그림, 김창환 감수 / 아울북 / 201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책은 큰아이가 사서 모으기 시작한 책이 이렇게 새롭게 출간이 될때 마다 한권 두권 10권씩 주문해서 우리집 남매들이 읽고 또 읽고 재미나게 보는 책이랍니다. 8살이 되는 아들녀석이 신간이 나왔는데 사주지 않느냐면서 사달라고 졸라서 구입에 들어간 우리집 인가 도서중 하나랍니다. 계속 해서 새로운 시리즈가 나오면 울 남매들이 구입해 달라고 하는 학습만환이네요~

지금도 곁에서 보고 또 보는 책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