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글을 지킨 사람들 - 세종 대왕부터 헐버트까지
김슬옹 지음, 이량덕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3년 10월
평점 :
품절
우리나라 한글의 소중함을 어른인 엄마들도 잘 모르고 있다지요~ 반성해야 할것 같아요. 한글보다는 요즘은 말에 영어를 섞어 써야 있어보인다고들,,, 하니,,,, 우리 말인 한글이나 제대로들 잘 알고 사용했으면 한답니다. 한동안 사라졌던 한글날도 다시 쉬는 날로 정해서 그 날의 의미를 알아보라는 깊은 뜻이 있는데 단순히 공휴일로만 알고 넘어가니 조금은 속상하기도 하답니다. 그런의미에서 아이랑 이책으로 한글을 지킨 사람들을 알아볼 수 있었답니다.
우선 저자는 이책의 이야기를 12분의 이야기로 구분해 두었답니다. 엄마인 저도 이번에 한글의 의미를 제대로 알 수 있었지요. 한글은 매우 과학적인 글자로 한글의 자음과 모음으로 무려 11,172 글자를 만들 수 있다고 한답니다. 한글의 창제 원리, 훈민정음에는 해례본이 있고 그것은 세종이 직접 쓴 정음과 집현전의 학사들이 쓴 정음 해례로 되어 있다는 것부터 시작해서 한글의 보급에 대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어요. 한글이란 이름은 '오직 하나의 큰 글' 이라는 의미로 1910년 무렵에 주시경 선생에 의해서 만들어진 이름이라고 하네요.
그리고 한글을 알리고 지킨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랍니다. 세종 대왕, 정의 공주, 세조, 신숙주, 성종, 최세진, 허준, 김만중, 주시경, 최현배, 이극로, 헐버트. 제가 알고 있는 인물들도 있었지만, 처음 이름을 들어보거나 한글과 관련되었으리라 생각하지 못한 인물들이 있었답니다.
이책으로 알게된점이 있어요~ 조선 중종 때 최세진 선생이 자음에 '이'와 '으'를 넣어 자음의 이름을 만들었고, 오늘날 사용되는 자음과 모음의 순서도 만들었다고 한다네요. 최초의 한글 소설 홍길동전을 쓴 허균 선생에 대해서도 많은 내용이 나온답니다. 홍길동이란 도적은 조선 연산군 때에 실존했던 도적으로 조선왕조실록에도 그 기록이 있답니다. 그리고 최현배라는 위인의 이야기도 이번에야 자세히 알게되었답니다.
초등학교 4학년인 현진이는 이책을 읽고 이렇게 독서록을 작성했답니다.
이챡은 한글에 대하여 한글과 관련된 위이들에 대해 나왔다. 이책의 줄거리는 이책에는 12명의 한글과 관련된 사람들이 나온다. 그리고 우리말을 소중히, 아껴쓰고 사랑해야 한다고 나와 있다. 나는 이책에서 가장 기억에 남은 인물은 최현배 이야기 이다. 왜냐하면 나는 우리나라 문법을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마침 우리말 문법을 완성시킬 뿐만아니라 한글 전용을 완성시켰기 때문이다.내가 생각하기에 이책의 장점은 내가 알지 못하고 있었던 한글의 관련된 사람들을 알 수 있고, 자신의 반성을 알 수 있으며 한글에 대하여 알 수 있다는 점이다.
현진이는 이렇게 12명의 위인들과 그 분들이 한글을 위해 노력한 점과 더 아끼며 완성해 간 점을 알 수 있었답니다. 엄마인 저도 이 책으로 한글의 의미와 만들어진 과정과 그 속의 과정을 알 수 있는 좋은 시간이였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