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린독서기록정리중
#책사는속도는읽는것보다빠르고
#기록은읽는것보다느리다

📚홍학의 자리
정해연 (지은이) 엘릭시르 2021-07-26, 336쪽, 미스터리 소설

🍊 얼마 전 (이라기엔 조금 지난) 방영한 드라마 ‘유괴의 날‘이 인상적이라 (실제 제대로 드라마를 보진 않았으나) 찾아보니 원작소설이 있었다. 그리고 최근 인스타에서 리뷰를 많이 보던 이 책과 같은 작가님이라는 걸 알게 되고 마침 도서관에 있어 읽게 되었다.

🍊 일단 책의 시작은 ‘호수가 다현의 몸을 삼켰다.‘ 라는 문장으로 이미 한 사람이 사망한 것으로 파격적으로 시작한다. 물론 요즘 강렬한 시작이 많아 파격이라 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그 시작을 계속 긴장감 있게 계속 유지하는 건 역시 작가의 힘이다. 화자인 주인공에 서술에 의하면 주인공은 비록 다현을 호수에 버렸으나 죽이진 않았다. 그렇다면 책에 니오는 누군가는 범인이고 범인은 주인공을, 그리고 읽고 있는 독자를 감시하는 듯한 느낌에 스릴이 계속 느껴진다.

🍊 크게 이 소설은 세 가지 반전이 있는데, 추리소설을 많이읽어 본 사람이라면 정확한 근거를 제시하진 못해도 막연히 이럴 수 있지 않을까 할 수 있다. 그러나 뻔하지만은 않다. 나 같은 경우는 잠시 ‘혹시‘하는 생각이 스쳐지나갔으나, 빠른 전개에 잠시 가졌던 생각을 잊어버리고 작가에게 휘말렸다. 확실한 건 다 읽기 전까지 책을 덮기 어렸다. 덕분에 새벽 늦게 잤다. 소설을 구성한 전부라 할 수 있는 반전 세가지가 어디선가 느껴본듯한 것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 그리고 반전이나 추리가 전부가 아니다. 준후, 다현, 조미란, 은성, 영주, 황권중 전부 현실서 부담스럽고 위험한, 그리고 불쌍하고도 연약한 사람들이다. 현대사회의 구성원들로 함께 있는 사람들. 나는 어떠한가.

🍊 마음에 더 남은 구절들

🌱아주 잠시, 준후는 그것이 자신의 얼굴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 무섭게 굳어버린 얼굴 속에 일그러진 욕망이 있었다. 두려움과 슬픔의 외피를 두른 악마가 도사리고 있었다.
8

🌱
차라리 다현을 죽인 것이 영주였다면 좋았을 것을.
다현이 죽지 않았다면, 하고 생각한 적이 없다는 사실에 준후는 조금 놀랐다.
269

🌱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듯 일그러진 조미란의 얼굴을 보며, 정은성은 조미란이 이해하지 못하는 것 자체가 슬프다는 얼굴을했다.
˝내가 어떻게 엄마를 실망시켜.˝
279

🌱
준후는 저항하듯 벌떡 일어섰다.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듯 강치수는 고개를 끄덕였다. 그리고 준후를 똑바로 응시했다.
˝가능합니다. 남학생이니까요.˝
323

🌱
그중 한 사람만이라도 다른 선택을 했다면 상황은 달라졌을지 모른다.
강치수가 답했다.
˝외로웠겠죠.˝
328

🌱
아무도 모른다.
그 냄새나는 차의 문을 닫을 때, 황권중이 살아 있었던 것은 아무도 알지 못한다.
김준후는 길고 긴 복도를 웃으며 걸었다.
3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