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서 그의 최선책은 나무 위로 날아오르되 다.
동료들도 함께 날아오르도록 부추기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는무리를 이탈한 못난이가 되어 군집의 일부라는 이점을 상실하지 않고서도 몸을 피하는 이점을 얻을 것이다. 이 경우에도 역시 경계음을 내는 행위는 순전히 이기적인 이익을 가져올 것으로 생각된다. 차르노프E.L. Chanov와 크렙스도 비슷한 이론을 제안하였는데, 이들은 경계음을 내는 개체가 무리의 다른 개체에 대해 취하는 행위를 조종‘
이라는 말로 표현하기까지 했다. 우리가 순수하고 사심 없는 이타주의로부터 정말 먼 길을 걸어오긴 한 모양이다.
- P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