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척 괴로우면서도 기쁘다. 그녀가 병원에서 불미스러운 행동을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러자 갑자기 못 견디게 괴로웠다. 이렇게까지 괴로우리라 상상하지 못했다. 나는 혐오와 증오를 품은 채그녀와 이야기하다가 문득 나 자신에 대해, 그리고 그녀를 증오하게 된 원인에 대해 성찰하게 되었고, 나도 똑같은 짓을 숱하게 저질렀으며 지금도 마음속으로 그 죄를 짓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고, 갑자기 나 자신이 혐오스럽고 그녀가 안쓰러웠다. 그러자 마음이 무척편해졌다. 제 눈 속에 있는 들보를 볼 수 있다면 우리는 얼마나 더선해질까. 그리고 그는 오늘 날짜로 적었다. 나는 오늘 나타샤를 만나러 갔다가 독선적인 마음에 휩싸여 그녀앞에서 나쁜 모습을 보였고, 개운치 않은 기분만 남았다. 하지만 어쩌겠는가? 내일부터 새 삶이 시작된다. 안녕, 낡은 삶이여, 영원히 안녕. 여러 가지 인상이 쌓였지만 아직 하나로 묶을 수가 없다. 다음날 잠을 깨자 네흘류도프는 매형과 충돌했던 것을 가장 먼저 후*「마태복음」 7장 4절 "네 눈 속에는 들보가를 빼내주겠다‘ 하고 말할 수 - P150
조직적으것이다. 그는 교도소에서 일어난 일을 이야기했을 때 마슬렌니코프가 보인무관심, 교도소장의 냉담함, 병약한 죄수들을 짐마차에 태워주지도 않고 기차에서 산고로 괴로워하는 여자 죄수에게도 아무 관심 없던 호송대 장교의 잔혹함을 생각했다. ‘이 사람들은 모두 직무를 수행한다는이유만으로 가장 평범한 동정심조차 느끼지 못하는 몰인정한 인간들이 되어버렸다. 관직에 있는 그들은 자신의 감정에 인간애가 침투하는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저 돌 깔린 땅이 빗물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처럼‘ 네흘도프는 다양한 색의 돌들로 포장된 비탈길에 빗물이 스며들지 못하고 여러 갈래의 작은 개울들이 되어 흘러내려가는 것을 바라보며 생각했다. ‘하기야 이렇게 땅을 깎아낸 경사면에는 돌을 깔 필요가있을지 모르나 곡물이나 풀, 덤불, 나무를 기를 수 있는 힘을 잃어버린땅을 보는 건 서글픈 일이다. 인간도 이와 마찬가지다. 네흘도프는생각했다. ‘어쩌면 도지사도 교도소장도 순경도 필요한 존재일지 모른다. 그러나 인간이라면 지녀야 하는 중요한 특성, 즉 사랑과 연민을 상실한 사람들을 보는 긴 끔찍한 일이다.‘ ‘문제는‘ 네흘류도프는 생각했다. ‘저들이 법이 아닌 것을 법으로 인정하고, 신이 인간의 마음속에 심어놓은, 잠시도 미룰 수 없는 영원불변의 법은 법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데 있다. 그래서 나는 저들과 함께 있으면 못 견디게 외로워지는 것이다.‘ 네흘도프는 생각했다. ‘나는 왠지 저들이 두렵다. 실제로 저들은 무서운 사람들이다. 강도보다 - P190
결심했을 때 느꼈던 자기도취와 뒤섞인 의무감과도 전혀 달랐다. 이 감-정은 그가 교도소에서 처음 그녀를 면회했을 때, 그리고 그후 병원에서만나 혐오감을 억누르고 의사 조수와 얽힌 추문(이것이 오해였음은 나중에 알았지만)을 용서했을 때 새로운 힘으로 경험했던, 연민과 감동이 섞인 지극히 단순한 감정이었다. 이번에도 그때와 똑같았다. 한가지 다른 점이 있다면, 그때의 감정은 일시적이었지만 지금은 항구적이라는 것이다. 지금은 무슨 생각을 하건 무슨 일을 하건 그는 그녀뿐만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연민과 감동을 느꼈다. 그 감정은 네흘류도프의 마음속에서 지금껏 출구를 찾지 못했던 사랑의 흐름에 수문을 열어준 것처럼 그가 만나는 모든 사람에게로 흘러들어갔다. 그런 고양된 상태에서 네흘류도프는 이동중에 만나는 모든 사람에게, 아래로는 마부와 호송병에서부터 위로는 교도소장과 도지사에 이르기까지 자기도 모르게 연민과 호의를 느꼈다. 마슬로바가 정치범 쪽으로 옮겨간 후로 네홀류도프는 여러 정치범과 알게 되었다. 처음은 그들 모두가 함께 아무런 구속 없이 큰방에 수•용되었던 예카테린부르크에서였고, 그후 이송 도중 마슬로바가 새로끼게 된 무리의 남자 다섯, 여자 넷과 가까워졌다. 그리고 유형수 정치•범들과 접촉하면서 그는 그들에 대한 시각을 완전히 바꾸게 되었다. 러시아에서 혁명운동이 일어난 초기부터, 특히 3.1사건 이후로 네홀류도프는 혁명가들에게 반감과 경멸감을 품고 있었다. 반감은 무엇보다도 반정부 투쟁에서 그들이 사용한 수단의 잔혹성과 폐쇄성, 특히그들이 저지른 살인 행위의 잔혹성에서 비롯되었고 게다가 그들 모두 - P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