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호로 역 다다 심부름집 - 제135회 나오키 상 수상작
미우라 시온 지음, 권남희 옮김 / 들녘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친구의 추천으로 읽은 책이다.

일본소설 몇권을 읽고 실망하고 있던 차에 이 소설도 여타 읽은 소설과 같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내 생각이 틀렸다.

다다와 쿄텐...어울릴것 같지 않으면서 이가 맞는 톱니처럼 너무나 잘 어울리는 한쌍이다.

쿄텐이 일을 만들면 다다는 쫓아다니면서 수습하고...엄마와 아이같은 모습을 보이기도 하고,

다다가 고민하고, 힘들어할때는 쿄텐이 도와주고 위로해주고...

그들의 옥신각신하는 모습에서 많이 웃었다.

심부름집에 일을 의뢰해오는 사람들의 모습에서 쿄텐과 다다의 어쩌면 맞이했을 미래의 모습이나 과거의 모습을 가진 사람들을 만나면서, 그리고 서로의 숨겨진 진실된 모습을 통해 남에게 보이지 않았던 상처를 치유받고 위로받는 모습이 읽으면서 가슴이 따뜻했다.

쿄텐이 다다에게 한  "누군가한테 필요한 존재라는 건 누군가의 희망이 된다는 의미야." ,

"새끼손가락이 다른 손가락보다 조금 차갑긴 하지만, 문질러 주면 온기가 돌아. 원래대로 돌려 놓을 순 없어도 회복할 순 있다는 말이야" 말이나

다다가 유라 도련님에게 한  "하지만 아직 누군가를 사랑할 기회가 있어. 네가 받지 못했던 걸 네가 원하는 모습 그대로 새롭게 누군가한테 줄수가 있다고. 아직 그 기회는 남아있어. 살아있으면 언젠가는 기회가 있어. 그걸 잊지마."

그리고 마지막에 행복은 모양을 바꾸어가며 다양한 모습으로 원하는 사람들에게 몇번씩 찾아온다는 말이 와 닿았다.

읽으면서 이번엔 제대로 일본소설을 골랐다라는 생각을 했고, 2번 읽어도 역시 웃었고, 가슴이 따뜻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