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즐거운 로저와 대머리 해적 압둘 ㅣ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4
콜린 맥노튼 글.그림, 김미경 옮김 / 시공주니어 / 1993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들은 잔악무도한 해적의 모습을 흥미진진하고 자유로운 영혼쯤으로 그리는 환상을 품고 있다. 망망대해를 배를 타고 자유롭게 떠다니며 규율이나 예의에 구애받지 않고 어딘가에 숨겨진 보물선이나 보물섬을 찾아간다는 매력적인 요소가 내재된 모험심에 불을 당기는 모양이다. 시시껄렁한 잡담과 걸쭉한 욕지거리와 비일상적인 선상생활과 오싹한 비주얼이 난무하는 해적 이야기, 아이들을 위한 권장도서 목록에는 절대 오를 일이 없는 이런 책들을 아이들이 왜 좋아하겠는가. 현실에선 불가능한 이야기지만 책 속에서 만큼은 맘껏 신나게 놀아보자는 자유로움의 발로가 아닐까. 데이빗 세논의 <내가 어떻게 해적이 되었냐면>에 등장하는 댕기수염 해적단과 콜린 맥노튼의 <즐거운 로저와 대머리 해적 압둘>의 황금궁둥이 해적단은 우리 아이가 좋아하는 해적들이다. 물론 두 해적 이야기에 등장하는, 해적 앞이라고 절대 주눅 드는 법이 없는 제레미 제이콥과 졸리 로저 라는 두 명의 소년과 아이 자신을 일치시켜 대리만족을 얻으려는 마음을 충분히 이해한다. 나는 이런 책을 교육적 윤리적 잣대를 들이대 막아서고 싶은 생각이 전혀 없다. 오히려 등을 떠미는 쪽이다.^^
늘 찌푸리고 다닌다고 해서 반어적으로 붙여진 듯한 ‘졸리 로저’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로저는 부둣가로 심부를 가는 길에 해적선의 구인광고를 보고 호기심이 발동한다. 잘 알려진 대로 해적깃발을 ‘졸리 로저’라고 부른다. 로저는 해적선을 타야할 운명이었던 것일까?^^ 로저가 갓난아기였을 때 배를 타고 떠났다가 돌아오지 않은 아빠 때문에 웃음도 잃고 불평과 잔소리와 심통만 가득한 엄마와 근근이 생활하는 로저에게 해적선은 엄마의 잔소리를 피할 도피처이기도 하고 부자가 될 수도 있고 어쩌면 아빠를 찾을 기회일 수도 있는 솔깃한 꼬드김이다. 때맞춰 부두에 오른 해적들에게 납치되어 원하던 해적선에 오른 로저는 면면이 지저분하고 흉악한 해적들 앞에서 놀라거나 기죽는 법이 없다. 심통꾼 잔소리꾼 엄마에게 단련이 되어서일까..^^ 로저 앞에서 자신을 소개하는 황금궁둥이 해적선의 해적들은 아마도 해적시대의 악명 높았던 해적들에서 이미지를 차용해 오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해적의 역사까지는 뒤져보지 않았지만 내가 작가라면 시대와 활동무대가 각각 다른 악명 높은 해적들을 한자리에 모아보는 것도 재미있는 작업일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니면 말고..^^
눈이나 팔 다리 제대로 갖추지 못한 것이 해적의 훈장이라도 되는 양 모양새가 흉측한데다 청결의식이라고는 눈꼽만큼도 찾아볼 수 없는 해적들은 비누냄새를 풍기는 로저에 흥분한다. 로저의 청결함이 영국 최고의 깔끔쟁이 엄마 때문임을 알고 해적들은 엄마를 교육시키러 떠나자고 흥분해서는 해적선에 로저와 주방장만 남겨두고 부두로 떠난다. 엄마를 혼내주겠다고 떠난 해적들은 사흘이 지나도 돌아올 줄 모르고 결국 로저와 주방장은 해적들을 찾아 나선다. 로저네 담장 너머로 보이는 광경. 로저 엄마는 허리와 어깨에 많은 무기들을 매달고 한손에는 총을 다른 한손에는 칼을 들고 해적들을 지휘하고 있고, 해적들은 반짝반짝 깨끗해지고 고분고분하게 로저 엄마의 명령대로 집안일을 하고 있다. 역시 로저 엄마는 해적들보다 한수 위였다. 남편의 행방도 모른 채 아들과 둘이 살아남으려니 당당하고 강해질 수밖에... 로저의 이야기는 집안의 오랜 슬픔과 절망이 걷히고 따스하고 행복하게 끝난다. 해적들은 배에서 심부름할 아이를 구할 때는 그 엄마가 어떤 사람인지 먼저 살피라는 교훈을 뼈저리게 느끼며 꽁지 빠지게 도망가 버렸다.
콜린 맥노튼은 너무나도 유명한 <거인 사냥꾼을 조심하세요!>로 먼저 만난 작가다. 커다란 판형에 글자도 제법 많아서 아이에게 읽어주기에 고단한 그림책 중 하나다. 거인과 거인사냥꾼이라는 상상력을 끌어다 환경에 대한 귀한 메시지를 전하는 좋은 그림책임은 틀림없다. 읽어주기는 <즐거운 로저와 대머리 해적 압둘>이 <거인 사냥꾼을 조심하세요!>보다 곱절은 더 고달프다. 4~6세 유아책으로 분류해 놓은 온라인 서점들에 한마디씩 투덜거리게 될 정도다. 예비초등생 정도가 알아서 스스로 ‘혼자’ 읽어주면 좋을 책이다.^^ 그림책 치고는 글의 분량이 엄청나게 많지만 그래도 콜린 맥노튼이 글과 그림 작업을 해낸 이 두 작품이 좋다. 국내에 소개된 책이 몇 권 더 있지만 다른 그림 작가와 분업을 했거나 영아용에 가까운 그림책은 콜린 맥노튼 만의 매력적인 분위기가 제대로 맛을 내지 못해서 영 싱거운 맛이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