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미 아난시 열린어린이 그림책 6
제럴드 맥더멋 글.그림, 윤인웅 옮김 / 열린어린이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칼데콧 상을 세 번이나 수상한 작가인 제럴드 맥더멋의 그림은 스치듯 한번만 봐도 오래도록 잊을 수 없는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단순화하고 상징적인 독특한 문양들과 화려하고 원색적인 색채감은 그 강렬함 탓에 호불호가 명확한 작가 중 한명이다. 그의 글은 아프리카 민담이나 인디언 설화 같은 신화적인 요소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신비감과 호기심과 재미를 두루두루 선사하고 있다.

<거미 아난시>는 푸에블로 인디언 설화를 그림책으로 만든 <태양으로 날아간 화살>에 이어서 제럴드 맥더멋의 작품 중 두 번째로 읽은 책이다. 또한 ‘거미 아난시’에 대한 이야기는 게일 헤일리의 <이야기 이야기> 이후 두 번째로 만나게 됐다. 먼 대륙 아프리카, 그 중에서도 아샨티 사람들의 영웅 콰쿠 아난시의 수백 년 전 모험담을 바로 이곳에서 생생하게 즐길 수 있다는 게 바로 그림책의 특혜가 아닌가 싶다. 알고 보니 콰쿠 아난시의 이야기는 벌써 오래 전부터 유명한 이야기라서 이미 많은 책속에서 언급하고 있었으니 그 유명세를 몰랐던 나는 뒷북도 엄청난 뒷북을 치고 있는 중이다.

하늘에 하나뿐인 해와 달을 두고 우리나라의 ‘연오랑 세오녀’를 비롯해서 세계 각국에는 참으로 다양하고 재밌는 신화와 민담들이 존재한다. 콰쿠 아난시 모험담의 결론 부분을 먼저 얘기하자면 지금 밤하늘의 달이 거기에 있게 된 것이 모두 아난시 덕분이라는 아프리카식 일월신화를 이야기하고 있다. 하지만 이 책의 진정한 재미는 콰쿠 아난시의 여섯 아들의 활약상이라 할 수 있다. 그 이름 또한 어찌나 독특한지 아이들은 그 이름에 깔깔대고 이름값을 하는 여섯 아들의 활약상에 눈을 반짝거린다. 콰쿠 아난시의 여섯 아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우선 큰 아들 ‘큰일 났다’는 멀리서 생긴 큰일을 볼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둘째 아들은 ‘길 내기’, 셋째 아들은 ‘강물 다 마셔’, 넷째 아들은 ‘먹잇감 손질’, 다섯째 아들은 ‘돌 던져’, 막내 아들은 ‘방석’이다. 이름에서 그 활약상의 윤곽이 잡힐 것이다. 집을 떠나 먼 길을 가게 된 아난시는 그만 길을 잃어서 큰일을 당하게 된다. 강에 빠져 물고기 밥이 될 위기에 처하게 된 것이다. 아빠에게 큰일이 닥쳤음을 알게 된 큰아들 ‘큰일 났다’가 바로 형제들에게 알리게 되고 ‘길 내기’가 길을 만들고 ‘강물 다 마셔’가 한입에 강물을 다 삼켜버리고 ‘먹잇감 손질’이 나서서 물고기 배를 갈라서 아빠를 구한다. 겨우 한숨 돌리고 있는 아난시에게 이번에는 하늘에서 매가 나타나 아난시를 물고 하늘로 올라간다. 예상대로 ‘돌 던져’가 돌을 던져 매를 명중시키고 ‘방석’이 하늘에서 떨어지는 아빠를 받아낸다. 콰쿠 아난시와 아빠의 목숨을 구한 여섯 아들이 나란히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숲속에서 빛나는 큰 구슬을 발견하게 되고 아난시는 자신의 목숨을 구해준 아들에게 그 구슬을 상으로 주고 싶지만 누구의 공이 큰지 가늠하기가 힘들의 세상 모든 것들의 신인 니아메에게 잠시 맡아둘 것을 부탁을 하게 된다.

아난시의 여섯 아들의 이름도 재미있지만 작가는 각각의 아들들에게 이름표처럼 특징적인 문양을 부여해줬다. ‘길 내기’에게는 X표시, ‘강물 다 마셔’에게는 출렁이는 강물을 형상화한 표시..이런 식이다. 책장을 넘기며 독특한 문양 만으로 아들 거미의 이름 맞추기를 하는 것도 아이와 함께 이 책을 즐길 수 있는 또 다른 재미다. 제럴드 맥더멋, 원색이 촌스러움으로 흐르지 않고 단순함이 세련됨으로 승격된 그림은 정말 그에 대적할 만한 작가를 찾기 힘들 정도로 탁월하다. 그가 소개하는 또 다른 웅장한 신화 이야기를 담은 따끈한 신간에 눈길이 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