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기 늑대 세 마리와 못된 돼지 ㅣ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174
헬린 옥슨버리 그림, 유진 트리비자스 글, 김경미 옮김 / 시공주니어 / 2006년 9월
평점 :
흑과 백, 선과 악의 이분법적 논리로 고착화 되지 않고 다양한 발상의 전환을 꾀하는 이런 패러디 동화는 늘 환영이다. 이 책 속에서는 ‘아기 돼지 삼형제’에 등장하는 돼지와 늑대가 확실하게 역할을 바꿨다. 하지만 늑대의 오랜 횡포에 복수라도 하듯 못된 돼지는 원전 동화의 늑대보다 백만 배쯤 포악하게 등장한다. 바람을 불어 지푸라기나 나무 집을 날려버리는 수준이 아니라 벽돌집도 쇠망치로 부수고, 콘크리트 집도 드릴로 부수고, 강철판으로 무장한 철옹성 같은 집도 다이너마이트로 폭발해버릴 정도로 아주 강력하다. 그에 반해 아기 늑대들은 아기 돼지들보다 더 여리고 애처롭다. 원전의 아기 돼지처럼 게으르거나 놀기 좋아해서 각자 취향대로 집을 짓기는커녕 서로 떨어져 있을 생각조차 두려워하고 처음부터 아주 튼튼한 보금자리를 짓기 시작한다. 포악한 돼지의 협박에도 셋이 서로 꼭 붙어서 바들거리고, 무너지는 집에서 탈출할 때도 셋이 서로 밀어주고 당겨주는 모습이다. 이 정도면 ‘아기 돼지 삼형제’의 완벽한 뒤집기다. 하지만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결말은 원전과 다르다. 원전을 역할만 바꿔서 패러디한 동화라면 포악한 돼지가 결국 혼쭐이 나야할텐데 이 책에서는 아기 늑대들과 돼지의 따스한 화해로 마무리 되면서 원작과는 또 다른 메시지를 전해준다.
집 짓는 재료에 문제가 있었다는 걸 깨달은 아기 늑대들은 기존의 견고함 보다는 오히려 부서지기 쉽고 바람에도 흔들거리는 개방된 집을 택한다. 재료의 문제라고 했지만 사실은 선입견이나 편견에 사로잡혀 타인을 향해 빗장을 지른 마음의 문을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돼지의 포악함에는 외로움이 감춰져 있다. 단순히 꽃향기에 마음이 부드러워지고 깨달음을 얻었다기보다 정에 굶주린 약한 모습을 감추려고 일부러 포악한 모습의 가면을 쓴 친구에게 조심스럽게 다가서려는 시도를 하는 아기 늑대들의 열린 마음이 못된 돼지에게도 전해졌으리라 본다.
앞 뒤 표지 안쪽을 장식하는 찻주전자, 돼지의 계속되는 협박에 “우리 집에서 차 마시는 건 꿈도 꾸지 마?”를 외치던 아기 늑대들, 그리고 돼지에 의해 집이 무너지는 순간에 아기 늑대들이 늘 챙겨 나오던 찻주전자, 돼지와 아기 늑대들이 함께 어우러진 평화로운 티파티에 등장하는 찻주전자...재치가 엿보이는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