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청춘, 시속 370㎞ - 제9회 사계절문학상 대상 수상작 ㅣ 사계절 1318 문고 72
이송현 지음 / 사계절 / 2011년 8월
평점 :
청춘은 무진장 빨리지나간다
그러기에 더욱 아프고 힘들게 느겨지는게 당연하다
나는 사실 슬로라이더라 속도감을 싫어한다
그래서 청소년들이 바이크에 아슬아슬하게 매달려 질주 하는걸 이해 하지 못했다
하지만 인생의 답답함을 속도가 주는 쾌감으로 풀려하는걸 조금은 이해하게 되었다
고속도로에서 시속100km에 멀미가 날 지경인데 대체 370km는 무얼까 궁금했는데
매가 먹이를 포착하고 날아가는 속도란다
상상만해도 대단한 녀석이라는 짐작할수있다
동준이의 아버지는 잘나가는 회사를 접고 매잡이가 되셧다
전통문화를 이어가는 매잡이 응사가 되고부터 엄마와의 불화는 계속 이어 지고
엄마는 아버지를 대신 돈벌이에 나설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이렇게 돈 안되는 전통 문화 수호자를 지지해줄 여자는 많지 않을것이다
경제적으로 아무 걱정이 없거나 가정이 없다면 모를까
아버지의 유일한 수제자인 응식이 삼촌이 군대에 가면서 다시 돌아오지 않는 다고
선언하고 떠나 버리자 동준은 바이크를 사고싶은 욕심으로 마음에도 없는 매잡이 수호자가
되기로 하고 아르바이트를 시작한다
돈만 모으면 그만 두면 그만이라는 식이었지만 매를 길들이면서
진정으로 매와 교감하고 서서히 아버지를 조금씩 이해하게된다
이번 겨울에 시연회에서 통과하면 우리나라 전통 매사냥이 유네스코 세계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될수가 있단다 그래서 아버지는 치질수술도 모두 뒤로 미루고 집마저 팔아서
응방으로 집을 옮기고 매사냥에 인생의 모든것을 건다
드디어 처음으로 매사냥 시연회에 참가한 동준은 가슴이 뜨거워진다
동준의 매 보로가 창공을 날아서 꿩을 낚아채 돌아 오는 눈동자를 보고
동준은 숨을 쉴수가 없었다
인응일체. 사람과 매는 하나가 되어야한다
아버지의 말씀 그대로였다
시연회를 무사히 마치고 보로를 자연으로 돌려 보내러 산으로간다
보로를 창공으로 날려 보낸후에
동준 아버지와의 계약서를 찢고 내가 매사냥하고 싶으면 내년겨울이든 내후년이든
게속 찾아올거라 말하며 자신을 길들인건 매가 아니라 아버지의 진심이라는
말이 감동적이었다 무뚝뚝한 아버지이고 이런길로 가라고 말할수도 없는
아버지의 진심이 나에게도 전해진다
이책을 읽고 과연 결과가 어떻게 되었을지 무척 궁금했는데
작가의 말에 이작품이 사계절 문학상을 수상하고 얼마뒤에 유네스코 세계인류무형유산
으로 등재되었다는 기쁜 소식을 들었다고 하니 정말 기쁘다
이러한 우리의 전통문화를 우리는 너무 홀대하지 않았나싶다
이런 사람들의 노력으로 전통문화가 계승되는걸 잊지말고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하지 않을까
학교 친구 이런 식상한 소재가 아니라 매에 관한 이야기라 더욱 흥미롭고
재미잇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