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상의 법칙 - 반양장
허브 코헨 지음, 강문희 옮김 / 청년정신 / 2001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협상에는 정보와 시간 그리고 인내가 필요하다. 맨처음 영업사원을 하면서 가장 결핍되는 것이 우선적으로 정보력의 부족이었다. 시간과 인내 그리고 자사 제품에 대한 노하우와 지식이었다. 그렇지만 그 협상이라는 것이 쉽지만은 않아서 결국 이책을 보게 되었지만 나름대로 많은 도움은 얻은 것 같지는 않지만 긍정하는 부분이 상당히 있는 것은 사실이다.

전체적인 기업문화가 정착되어지지 않아서 내부적으로 설득하고 불만을 표명하면서 안과의 협상을 벌이고 있지만 역시 이것 또한 오래된 관행으로 몸에 베여서 잘 되지 않는다. 꾸준히 변화와 혁신을 원하지만 정작 내가 이곳에 물들기 시작할 즈음 나는 다시 정신을 바짝 차리고 놀라웠다.

아니 협상을 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이곳 문화와 어느새 협상당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그래서 나는 서둘러 다시 정신을 가다듬고 모든 일에 긍정적으로 대처하기로 맘 먹었지만 그 역시 잘 안되는 일이다. 협상은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도 끊임없이 이루어진다.

이미 삶 전반에 걸쳐서 우리는 무수히 많은 협상을 하면서 살고있다. 대체적으로 용기와 정보 그리고 자신감이 충만하다면 모든 사람들은 그 방법을 유전적으로 알고 있다. 그게 바로 삶이고 살아가면서 보이지 않게 익히는 것이다. 그래서 협상의 법칙은 나 나름대로는 룰처럼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어쩌면 삶에서 우리가 얼마나 잘 응용하느냐에 따라서 바뀔 수 있다고 자부하는 부분이다. 협상은 지금 이 순간에도 이루어지고 또, 해 온 것이다.

이건 전적으로 모순이 아니다. 다만. 협상에는 잘하는 협상과 못하는 협상이 있겠지만 말이다. 보다 유리한 협상을 이루기 위해서 탁월한 전략이 뒷받침해줄 때에 가능하다고 본다.

전략! 이것을 어떻게 세우냐에 따라서 협상테이블에서 웃음짓게 될 것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협상에서 웃는 사람이 결국 협상의 귀재가 되는 것이 아닐까? 협상은 태어나서 살아가면서 이미 몸에 익힌 것이다. 그것을 우리가 어떻게 활용하고 응용하는냐에 따라서 달라질 것은 분명하다고 본다. 이 책에서 그런 부분을 잘 다룬 편이다.생활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납치일기 1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권미선 옮김 / 민음사 / 1999년 1월
평점 :
절판


이런 생각을하게 된다.
남미의 대부분의 나라들은 지역적으로 역사적으로 게릴라의 탄생이 필연적이었다. 그들에게는 독립이 필요했고, 그 독립의 필요성을 위해서 결국 전투력보강이라는 난제를 내포하고 있다. 게다가 극심한 빈부의 격차가 심하다고 하니 그들이 만들어낸 것은 결국 투쟁의 역사 뿐인것이다.

사람들이 사는사회의 대부분은 어떤 현상이 하나 발생하면 그 결과만 두고 뿌리 뽑을려고하는 못된 버릇이 있다. 그러나 내 생각에는 오랜 역사적 오류에서 발생해왔고 필요로해오다가 마침내 내치는 경우도 상당히 고민스럽게 생각해야한다.

물론 그 과정에 있어서 극도로 못된 경우가 다수있다. 하지만 그것 또한 간과하면서 볼 수 있는 부분은 아니다라는 생각이든다.

독립은 그들의 자주권이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의도가 변질되어 나타나게 된 것이 마약수출이라는 극단적 방법을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이것은 경제적 필요성에의한 산물이다.-그렇다고해서 이러한 부정적인 면들을 긍정하고 싶지는 않다.)

다만 이 책에서 다룬 것은 납치라는 극악무도한 면을 주로 이야기한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오랫동안 발생하게 된 배경을 떠나서 무력은 많은 질서를 파괴하고 마침내 폭력으로 이어져 개인의 아픔과 사회의 질서를 무너뜨린다는 부정적인 내용이 있다. 아니 부정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불필요한 요소들이다. 그렇지만 삶은 또, 어쩔 수 없는 부분을 만들어내는 것이 사실이다.

<납치일기>를 읽으면서 이런 것들에 치중하면서 읽었다.
지금 이스라이엘과 팔레스타인의 문제가 민족적, 정치적인 문제만은 아니지 않은가
여전히 종교적, 민족적, 역사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다소 변질된 것은 사실이지만 콜롬비아도 마찬가지라고 생각이 든다. 주류가 아닌 편에서 비주류의 입장을 생각해보고 언급한 부분이다. 그렇다고해서 나는 폭력과 파괴를 사랑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다만 원인을 파헤쳐 볼 뿐이다. 무엇이 그들을 그렇게 만들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겨울 나무로부터 봄 나무에로 민음 오늘의 시인 총서 21
황지우 지음 / 민음사 / 1985년 10월
평점 :
절판


글은 생활의 소산이다. 그래서 솔직하고 담백한 글은 우리를 감동시킨다. 황지우의 글은 그런 면에서 솔직하다. 김수영-황지우-이성복-장석남으로 이어지는 계보들을 들춰보면
김수영과 황지우는 생활에서 그 소재를 찾아서 자연스럽게 시를 썼던 반면 이성복과 장석남은 상당히 서정적인 글들을 우리에게 선사했다고 본다. [황지우의 겨울-나무에로부터 봄-남무에로] 늘 그렇다. 글은 무엇보다 더 자연스러워야한다. 지나치게 꾸밈이 있거나 관념적이게 되면 독자들을 혼란에 빠뜨리는 경우가 있다. 나는 서점에 자주 간다.

주로 약속을 잡는 장소이기도 하는 탓도 어느정도 작용하겠지만 말이다. 아무튼 나는 인터넷 서점에서 책을 자주 사지 못한다. 비용의 절감을 절실히 실감하기도 하지만 책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고민을 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이유도 되겠지만 무엇보다 더 많은 책을 구입하고 쌓아 놓고 읽는 것을 즐겨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황지우의 글들은 상당히 자서전적인 소재가 산재해 있다. 시대적 상황들뿐만 아니라 유년의 그리움, 주변의 이야기들을 많이 다루었다고 본다. [우리 아버지-p67],[1960년 4월19일 20,21일. 광주-p27]같은 작품들은 가슴 한켠을 허전하게 하면서도 애절한 마음이 들게 한다. [들풀]이나 [바퀴벌레는 바퀴가 없다] 등의 시들은 상당 부분 김수영의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이 드는 부분이다. 그래서 모방에서 창조로 가는 시기의 작품이 아닐까? 어리석은 나는 그렇게 생각하게 된다. 물론 이후의 작품들은 자기의 목소를 내놓지만...... 또한 특징적인 것은 남도 사투리를 구수하게 내 뱉는 [1983년/말뚝이/발설] 은 그대로 황지우를 보여주는 부분이 아닐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자줏빛 소파
조경란 / 문학과지성사 / 2000년 5월
평점 :
품절


그녀의 글은 단문으로 구성되어있다. 그래서 속도를 내서 읽기에 상당히 좋은 편이다. 나는 매일 소통을 원한다. 아니 그의 말처럼 교통을 원한다. 그렇지만 항상 일상은 단조롭고, 그리고 늘 같은 사람과 함께 저녁을 먹거나 각자의 방에서 하루종일 한마디의 대화도 없이 사는 일이 반복된다고 할 수도 있다. 이런 일상들을 글들은 내 삶을 드려다 보는 일처럼 때로는 책 안에 깊이 빠져 있거나 혹은 그 내용들이 너무나 흡사하여 답답하거나 두려워지게 된다. 나의 자주빛 소파에 나오는 화자들은 어딘가 하나같이 동떨어진 삶에 있거나 아니면 타자들과 쉽게 어울리지 못하는 사회성 부족의 인간들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소년, 외국에 있는 애인에게 편지를 보내는 남자, 한 여자를 사랑하는 남자, 혼자가 되어버린 여자애, 뜨개질하는 여자 하나, 매번 남의 집에 들어가서 낮잠을 자고 나오는 아내, 그리고 매일같이 한 여자의 목소리를 찾아나서는 남자, 그리고 매일 누이에게 전화를 하는 동생 일상적이다. 그러면서 그 깊이 빠져들 수 있는 것은 작가가 직접 독자와 대화를 구사하는 능력을 발휘하고 있어서 이 책을 읽는 내내 나는 작가가 쓴 글이 아닌 어느 누구와 소통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라는 착각할 때가 있었다. (정말 가까이 사람을 두고 말하는 것처럼 작가는 능청스럽다. 아니면 지극히 냉소적이거나.....

모두들 사회적으로 적응력 부족의 인간 군상들의 단편들을 보여주지만 실질적으로 우리들 삶, 그리고 우리들 주변에 너무나도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사람들이기에 우리는 항상 그런 상황들을 묵과하고 외면하고 살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생각들이 든다. 조경란의 소설은 사람을 차분하게 하거나 내 삶을 뒤돌아보게 하는 묘한 매력을 발산한다. 90년대 글쓰기에 조금은 떨어져 있는 분위기라고 해야 할까? 조금은 동떨어진 흐름에 있다고나 해야 할까? 그녀의 글쓰기는 소외된 나, 혹은 나와 긴밀한 생활의 끈을 이어져 보일 듯 보이지 않는... 하지만 살며시 소년에게 망원경을 건네주는 장면은 아직도 세상을 멀리까지 바라볼 수 있다는 희망을 우리에게 심어준다.

세상은 선명하게 보일 것이다. 아마 현대인에게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소통일지 모른다. 그렇지만 그 소통은 아직도 어색하고 쉽지 않은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명을 찾아서 - 상 - 京城, 쇼우와 62년 문학과지성 소설 명작선 13
복거일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8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씩 좋은 글이란 어떤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하는지에 생각해 본다. 그것은 책 안을 바라보게 하거나 혹은, 글과 대화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때만 가능한 소통이 아닐까? 그런 면에서 복거일씨의 작품에 한없이 만족감을 시사하면서도 그의 성향에 대해서만큼은 아직은 이른 판단이기에 말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비명을 찾아서-환경과 문화적 차이 그러면서 우리 몸 속에 흐르고 있는 역류하는 의식들이 우리들의 삶에서 강하게 흡입력을 가지고 다가설 때 그 느낌이 주는 전율을 히데요는 느꼈을 것이라고 생각이 든다. 그래서 지적 욕구 아니면 의식 속에서 용솟음 치는 그 어떤 것을 계기로 그간의 삶에 反하는 행동을 가능케 하는 것일까?

우리 안에 있는 반달곰을 산으로 보냈다. 적응하는 것과 적응하지 못하는 것의 차이는 스스로에게 있지만 엄청남 환경의 차이를 어떻게 극복하느냐에 따라서 삶의 질적인 차이가 발생할 것은 자명한 일이다. 그렇다면 소설 속에 화자(히데요)는 삶에 반하는 행동으로 새로운 세계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 떠나는 것이 당연한 일이 되는 것이다. 대체적으로 부드러운 문체에 빠른 속도감은 이 책을 흥미롭게 하는 특징적인 부분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시구가 생각이 난다. 민중은 가을 풀잎처럼 시들지만, 정작 혹한의 겨울이 가고 봄바람이 불어오기 시작하면 어느새 파릇파릇 돋아난다. 민족의 언어 또한, 민중이(대중)사용하고 생활해 왔다. 아무리 단속해도 대자연의 섭리를 거를 수 없듯, 몸 속에 꿈틀거리는 언어의 유전자는 쉽게 차단한다고 해서 단기간에 잃어버리는 것이 아니다. 이 소설은 이 작은 명제에서 출발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