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제일 우울한 동네 핀란드가 천국을 만드는 법 - 어느 저널리스트의 ‘핀란드 10년 관찰기’
정경화 지음 / 틈새책방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빨리빨리를 외치는 한국과는 다른 느낌의 나라가 있다.

마음의 여유를 가진듯한 "휘게"문화를 품고있는 북유럽, 그리고 토베 얀손 핀란드인이 만든 유명한 캐릭터,무민이 떠오르기도 한다. 둥글둥글하니 순한 모습은 왠지 내가 가지고 있는 북유럽의 이미지와 비슷하다.

둥글둥글하니 순한 느낌의 문화를 가지고 있을 것 같은 느낌.

내가 알고 있는 마음의 여유를 가진듯한 북유럽 사람들에 대한 이미지는 희미한 지식으로 알고있는 이미지 일 뿐이었다.

그리고 이 책을 만나고 나서는 단순했던 북유럽 핀란드에 대한 이미지가 구체적으로 바뀌었다.

"세상에서 제일 우울한 동네, 핀란드가 천국을 만드는 법"을 읽으면서 말이다.

우리가 보통 핀란드하면 떠오르는 "무상교육, 무상복지"라는 단어자체가 핀란드 사람들이 느끼는 그 단어 어감에 대한 불편한 느낌에 대해 생각해보기도 하고(세금을 그만큼 내고 받기 때문에 핀란드인, 당사자들이 생각하기에는 부적절한 단어) 주는 불편한 느낌에 대해 생각해보기도 하고

저자가 풀어주는 핀란드의 현대사에 대해 읽으면서 핀란드가 주는 느낌들이 좋았다.

인구가 500만 정도밖에 안 되는 작은 나라 안에서 생기는 여러가지 문제들에 대해 풀어가는 과정과 노력들을 읽다보면 아픈 과거사를 이겨내고 고군분투하며 성장해온 한국과 비슷하다는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렇게 한국에서 "한강의 기적"과 같은 한국만이 가지는 흐름들이 있다면, 핀란드 역시 그들의 상황에서 그들의 방식으로 노력해가는 과정들을 읽어가는 재미가 있었다.

특히 기억에 남았던 부분은 스타트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핀란드 중소기업지원청에서 만든 "병원 아님" 건물 이었다.

오래된 병원건물을 활용하여 만들었던 스타트업계 지원 장소인데, 제정적인 부분을 고려하여 현실적으로 잘 활용했다는 생각이 들어서였다.

예전에 양평에서 일할 때, 출퇴근하며 보았던 큰 건물이 있었다. 그 건물은 새로운 시청인가 정부기관을 짓는다고 쓸데없이 크게 지었던 건물이었는데 정말 쓸데없이 크게 만들었다는 생각이 들었던 기억이 떠올라서 였기도 하다.

알뜰살뜰하니 잘 활용했다는 느낌이 제대로 들어서 인상적이었달까?

그 외에도 핀란드라는 다른나라가 그 나라의 가치관으로 찾아가는 해결책들이 가득한 이 책은 그로 인해 나에게 새로운 시각을 선사한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혼의 집 짓기 - 이별의 순간, 아버지와 함께 만든 것
데이비드 기펄스 지음, 서창렬 옮김 / 다산책방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관계란 여러가지 상황이 닥칠때마다 재정립 되는 것 같다.

가깝다가도 멀어지기도 하면서 그 관계가 끈끈해지기도 하고 남처럼 멀어지기도 한다.

그렇다면 죽음 앞에서 사람들의 관계는 어떨까?

무엇보다 가까운 가족관계, 아버지와 아들 사이 말이다.

"영혼의 집 짓기" 이 책은 그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어머니를 잃고 아버지의 생 역시 얼마 남지 않았음을 예상하며 주인공은 아버지와 함께 관을 짜 내려가며 그 관계가 깊어진다.

더불어 이 책은 아버지와 주인공의 관계뿐만 아니라 그 주변과의 관계 역시 관찰력 있는 시선으로 함께 써 내려간다.

주인공의 어머니가 돌아가시기 전 이야기부터 , 절친한 존에 대한 이야기와 그의 죽음, 그리고 그런 이야기들은 이 책에 더욱 생동감을 불어넣어준다.

더불어 아버지와 주인공이 같은 목표로 일을 하는 과정의 섬세한 묘사는 그들의 관계가 어떻게 발전되어가고 더욱 깊어지는 지에 대해 친절하게 설명해준다.

그리고 그 과정을 읽다보면 내 마음까지 평온해지는 느낌이다.

나이가 들어갈수록 결혼식 못 지 않게 방문하게 되는 장례식, 그리고 자주 방문할수록 죽음이 내 삶을 물들어가고 있구나란 생각에 잠길 때가 많다.

인간이 삶에서 가고 있는 최종 종착지는 결국 죽음이지 않나..

그런 부분을 생각할 때 그렇기에 내가 살아가고 있는 오늘 하루는 그만큼 찬란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오늘하루 나의 삶에 힘든 일이 있었다고 생각하지만 그게 정말 별거 아닌 것처럼 느껴진다.

죽음 앞에서는

그리고 오늘을 살아가면서 만나는 인간관계 속에서 어떤 마찰이 있어서 그 관계가 어렵게 느껴지고 용서하기 힘들다가도 죽음을 생각하면 뭐든 용서되지 않나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하고

죽음 앞에서는 부질없는 것들이 많으니까..

참 이 소설 안에서 많은 죽음들이 일어나면서 그 죽음을 묵묵히 받아들이며 관을 완성해가는 주인공과 아버지의 모습이 인상깊다.

죽음을 너무 어렵게 받아들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려는 두 사람의 모습이 말이다.

어머니와 존, 큰아버지의 죽음에 대해 두 사람이 그 슬픔을 견디는 방식은 함께하는 것, 그리고 자신의 죽음에 대해 생각해보며 자신의 관을 짜 보는 것.

그 두 사람의 방식은 그 두 사람을 더욱 성장하게 만든 것 같다. 그리고 함께 관을 짜며 더욱 서로의 관계에 집중하며 죽음 앞에서 그것을 견딜 어느정도의 내성을 형성한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앞서가는 조직은 왜 관계에 충실한가 - 성과를 내는 조직 문화의 비밀
랜디 로스 지음, 김정혜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직장일로 힘들어 엄마에게 하소연 했을 때 돌아왔던 말 중에 기억에 남는 말이 있다.

직장에서 70%가 사람관계의 영향을 받는다고, 참 사람은 감정적인 존재이기에 그런 사람이 모인 곳은 감정과 그로 인해 생기는 이해관계가 얽혀서 생기는 어려움이 참 고통스러울 때가 많다.

그래서 그런가 구직사이트에 보면 자주 등장하는 단어 "가족적인 분위기"

참 그 단어에서 많은 사람들이 직장을 구할 때 관계 분위기를 신경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 부분을 생각할 때 이 책은 나름의 많은 피드백을 제공한다.

조직의 리더가 사람관계를 이끌 때 생각해보아야 할 부분들 말이다.

그리고 340P의 이 책을 읽으면서 느낀 점은 "역시 인격이다"라고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보통 리더의 역량을 생각할 때 그 개인이 가지고 있는 기술적인 자질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넘어서 단체를 이끌기 위해서는 역시 "서번트 리더십"이라는 것.

구체적으로 다시 정리하자면 자신만 동기부여하고 팀원들을 억지로 이끄는 것이 아니라 팀원들에게도 동기부여하며 공동의 목표를 가슴 깊숙이 심어줄 수 있어야 한다고 한다.

그리고 더불어 인상적이었던 것은 직장관계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 그 리더의 전반적인 관계를 포괄적으로 되돌아 보아야 한다고 강조했던 것.

예를 들면 책 안에 한가지 구체적인 사례로 제시되었던 것이 저자가 한 회사의 리더를 컨설팅하면서 그 리더의 부부관계까지 연결시켜 컨설팅 했던 부분이다.

결국 리더의 인격적인 자질은 그 직장관계에 제한되지 않고 삶 전체에 드러난다는 것이다.

참 이런 부분들이 인상깊었고, 들었던 생각은 나는 어느 기업의 리더는 아니지만 결국 내 삶의 리더로써 다른사람에게 에너지를 전달해 줄 수 있는, 선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사람이 내 삶의 목표라면 나 역시 리더의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지 않은가?

나 역시 이 책에서 말하는 리더의 마음가짐으로 직장에서 일한다면 주도적인 사람으로써 성장 할 수 있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리더에 대해 말하고 있지만 그 "리더"라는 것이 제한된 지위로써 느껴지지 않았다.

나 역시 인격적으로 성장해야 할 부분이 많은 사람으로써 예비 "리더"이기 때문이다.

더불어 개인적으로 이 책이 마음에 들었던 것은 기독교인으로써 내가 생각하는 직장 가치관이 비슷했기 때문이다.

 


직장 역시 사랑을 나누는 곳이라는 저자의 마인드가, 그리고 사랑은 오래참고, 온유하며, 시기하지 않고, 자랑하지 않는 것이라는 성경에서 말하는 사랑의 개념을 알고 있는 듯한 그의 마인드가 친숙해서 기쁜 마음으로 이 책을 읽을 수 있었다.

가끔 이렇게 가치관이 통하는 글을 읽을 때 술술 읽히는 재미는 참 쏠쏠하다 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유행병과 기독교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자세
황을호 지음 / 생명의말씀사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9년 말에 중국에서 시작되어 2020년 3월, 현재까지 급격한 감염속도로 전세계를 판데믹(전염성 경보 6단계: 전염병의 대유행)으로 몰고 간 코로나 바이러스,

현재 많은 교회가 그로인해 대면예배를 중단하고 온라인으로 예배를 드리며 전화 상으로 서로의 안부를 묻고 있다. 그런 가운데 기독교인으로써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코로나 바이러스 발생 전 만하더라도 교회 공동체 안에서 서로가 반가움의 표시로 악수를 하며 안부를 묻고 예배를 통해 함께모여 찬양할 수 있었던 일은 너무나 당연히 할 수 있었던 일이다.

하지만 바이러스의 판데믹으로 인해서 당연한 일이 위험한 일로 바뀌고 나서, 모이기 힘든 상황이다.

그럴수록 더욱 말씀을 붙잡고 기도를 하자며 서로에게 격려를 하면서도 어떻게 기도하며 어떤 방향으로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들이 불쑥불쑥 튀어나온다. 그리고 그 때 생명의 말씀사 서평단 신청으로 이 책을 만났다

"대유행병과 기독교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19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자세"

69P의 짧은 분량은 코로나가 불러온 무거운 마음에 비해 가볍게 정리되어 있다.

하지만 그 안의 내용들은 세세하게 정리되어 있다.

세계 10대 판데믹, 재난 등에 대해 이야기하며 역사에 대해 이야기 하기도 그 안에서 우리가 조심스럽게 바라보아야 할 기독교인의 시각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성경에서 많이 나오는 말세에 대한 이야기를 현시점에서 특수사건으로 제한시켜서는 안된다는 것, 단지 우리는 말세를 함부로 특수시점으로 예측할 수 없거니와 우리가 신경써야 하는 부분은 성경에서 나오는 진리의 말씀을 붙잡으며 실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그 외에도 이 책에서는 욥기에서 욥의 친구들이 저질렀던 실수들을 언급하며 우리 역시 재난을 하나님께서 주시는 체벌로 바라보고 있지 않는지 되돌아 보게 만든다.

우리는 함부로 남의 재난에 대해 함부로 심판할 수 없다는 것.


더불어 우리가 신경써야 할 부분이 말씀을 붙잡고 기도할 뿐만 아니라 예수님의 인격을 닮아가야 하는 존재로써 주변 이웃에게 나눌 수 있는 것은 나누는 사랑을 실천해야 한다.

그리고 이 책에서는 현재 코로나 사태에 사랑을 실천하기 위해 행동으로 보여주시는 분의 사례도 구체적으로 보여주면서 나 역시 주변의 이웃을 위해 나눌 수 있는 게 무엇인지 생각해보게 된다.

음..책에서 나오는 사례는 사역자분께서 중국에 거주하면서 생기는 극단적인 상황에 대한 사례지만 구체적으로 나의 상황에서 적용해보면 경북이나 대구지역에 사는 지인분들께 연락하며 안부를 물으며 중보기도하는 것 역시 소소하게 내가 할 수 있는 사랑의 실천일 수도 있지 않나 싶기도 하다

그리고 이 사태에 대해 기도할 때 황을호 저자께서는 어떻게 기도하고 계신지 기도문이 나오는데 이 기도문 역시 그리스도인으로써 어떻게 생각하며 주님과 대화해야 할 지 잘 정리되어 있다. 어떻게 보면 저자가 책에서 말한 그리스도인으로써의 시각을 정리해 논 요약본 같다는 느낌도 받았고 나 역시 이렇게 구체적으로 기도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그런의미에서 나 역시 이 사태를 위해 어떻게 기도할지 기도문을 작성하며 마무리하려고 한다.

사랑과 은혜가 풍성하신 하나님 아버지, 오늘날 우리는 판데믹이라는 국가적인 재난에 마주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질병으로 고통받는 가운데 제가 할 수 있는 일은 정말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느끼는 하루하루입니다. 무엇보다 이런 감염병에서 고통받는 분들은 아무래도 위생에 신경쓰기 힘들고 재정적으로 어려운 저소득층이 많을 거라고 예상됩니다. 성경 속 많은 약자들을 돌보셨고 사랑을 베푸셨던 주님을 기억할 때 그 주님의 역사가 오늘날에도 이루어지기를 소망합니다. 뿐만 아니라 주님 당신을 믿으며 당신을 닮기 원하는 많은 그리스도인 역시 질병에 고통받는 분들께 사랑을 베풀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믿습니다. 저 역시 그런 그리스도인 중 하나로써 전염을 막기위한 한 국민으로써 국가의 법을 준수하며 주변사람들을 위해 더욱 중보기도하며 나눌 수 있는 사람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주님이 주신 은혜에 감사드리며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애의 발견 - 서로에게 축복이 되는 형제자매 관계를 위한
안셀름 그륀 지음, 김선태 옮김 / 생활성서사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3자매 중 맏이이다. 나름 식구가 많은 집에서 살아왔지만 그렇다고 서로 많은 것을 이야기하고 나누진 않았다. 가족들 성향이 다 대체적으로 내향적이라서 집에서 할일 조용히 알아서 하며 지내는 편이다. 그러다가 최근 집 안에 큰 일을 겪고 나니 가족 간의 결합이 굉장히 중요하구나 라는 것을 많이 느끼는 나이가 되었다.

거기에 어느정도 사회생활을 겪고나니 느끼는 점은 가정생활이 사회생활에 큰 영향을 주는구나 였다.

어떻게 보면 가정생활에서 쌓아온 사회성과 대화 패턴이 사회생활에 그대로 드러난다.

그런 나에게 이 책은 단순히 종교인이 말하는 우애를 넘어서 나 자신의 가정생활 패턴을 점검해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300P 안되는 나름 얇은 책 안에 나오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해 맏이로써, 그리고 그 외에 내가 가정환경에서 쌓인 결핍으로 인해 드러난 인격적인 결함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신앙인으로써 떠오른 말씀. 매일 새사람으로써 거듭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여기서도 강조하고 있는 부분이 있는데

예수님께서는 자신의 생각을 늘 점검하라고 하신다. 마음을 증오와 불화가 지배하고 있는지, 형제에 대한 원망과 언짢은 감정이 있는지를 살펴보라고 요구하신다. 그리고 이런 감정에서 스스로를 정화하여, 내적으로 형제자매에게 친절한 감정을 전하라고 요구하신다. 그도 예수님의 형제나 자매이며, 예수님께서는 그를 위해서도 돌아가셨다고 생각할 수 있다.

우애의 발견 171-172P

'우애'라는 이 책의 주제 안에서 어떻게 표현해야 될 지 잘 정리되어 있어서 이 부분이 인상깊었다.

새사람으로 거듭나기 위해 죄를 점검하고 바른방향으로 돌이켜야 하는데 우애에 있어서도 나의 감정의 죄됨을 돌아보고 중보자이신 예수님을 기억하며 돌이킬 것!

더불어 이 책에서는 여러가지 형제자매들의 사례들이 나오면서 그들의 결핍에 대해 심리적으로 깊이 파헤처보는 내용들도 많아서 심리학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도 읽기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