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에서 제일 우울한 동네 핀란드가 천국을 만드는 법 - 어느 저널리스트의 ‘핀란드 10년 관찰기’
정경화 지음 / 틈새책방 / 2020년 2월
평점 :
빨리빨리를 외치는 한국과는 다른 느낌의 나라가 있다.
마음의 여유를 가진듯한 "휘게"문화를 품고있는 북유럽, 그리고 토베 얀손 핀란드인이 만든 유명한 캐릭터,무민이 떠오르기도 한다. 둥글둥글하니 순한 모습은 왠지 내가 가지고 있는 북유럽의 이미지와 비슷하다.
둥글둥글하니 순한 느낌의 문화를 가지고 있을 것 같은 느낌.
내가 알고 있는 마음의 여유를 가진듯한 북유럽 사람들에 대한 이미지는 희미한 지식으로 알고있는 이미지 일 뿐이었다.
그리고 이 책을 만나고 나서는 단순했던 북유럽 핀란드에 대한 이미지가 구체적으로 바뀌었다.
"세상에서 제일 우울한 동네, 핀란드가 천국을 만드는 법"을 읽으면서 말이다.
우리가 보통 핀란드하면 떠오르는 "무상교육, 무상복지"라는 단어자체가 핀란드 사람들이 느끼는 그 단어 어감에 대한 불편한 느낌에 대해 생각해보기도 하고(세금을 그만큼 내고 받기 때문에 핀란드인, 당사자들이 생각하기에는 부적절한 단어) 주는 불편한 느낌에 대해 생각해보기도 하고
저자가 풀어주는 핀란드의 현대사에 대해 읽으면서 핀란드가 주는 느낌들이 좋았다.
인구가 500만 정도밖에 안 되는 작은 나라 안에서 생기는 여러가지 문제들에 대해 풀어가는 과정과 노력들을 읽다보면 아픈 과거사를 이겨내고 고군분투하며 성장해온 한국과 비슷하다는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렇게 한국에서 "한강의 기적"과 같은 한국만이 가지는 흐름들이 있다면, 핀란드 역시 그들의 상황에서 그들의 방식으로 노력해가는 과정들을 읽어가는 재미가 있었다.
특히 기억에 남았던 부분은 스타트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핀란드 중소기업지원청에서 만든 "병원 아님" 건물 이었다.
오래된 병원건물을 활용하여 만들었던 스타트업계 지원 장소인데, 제정적인 부분을 고려하여 현실적으로 잘 활용했다는 생각이 들어서였다.
예전에 양평에서 일할 때, 출퇴근하며 보았던 큰 건물이 있었다. 그 건물은 새로운 시청인가 정부기관을 짓는다고 쓸데없이 크게 지었던 건물이었는데 정말 쓸데없이 크게 만들었다는 생각이 들었던 기억이 떠올라서 였기도 하다.
알뜰살뜰하니 잘 활용했다는 느낌이 제대로 들어서 인상적이었달까?
그 외에도 핀란드라는 다른나라가 그 나라의 가치관으로 찾아가는 해결책들이 가득한 이 책은 그로 인해 나에게 새로운 시각을 선사한 느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