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의 쓸모 - 내 삶을 채워주는 80권의 마음 처방전
양미현 지음 / 미다스북스 / 2024년 9월
평점 :
품절


내 삶을 채우고 자신만의 정원을 가꾸며 성장하기

<독서의 쓸모 >를 읽고

이 책은 독서의 효용 -배움과 가르침, 삶의 용기와 지혜, 재미와 감동은 물론 책의 해택과 우리의 삶에 어떻게 쓸모와 위안이 되고, 책을 통해서 성장하게 되는지? 

1. 위로가 필요할 때

2. 타인이 이해되지 않을 때

3. 서로의 다름에 대해

4. 배운다는 것 

5. 가르친다는 것 

6. 사랑한다는 것

7. 함께 한다는 것

8. 살아간다는 것에 대해의 총 8장으로 된,장별 각 10권의 책을 읽고 토론 정보를 총 80권의 책에 대해 쓴 것이다. 많은 분량임에도 어느 한 권 소홀함이 없이 꼼꼼히 정성을 들인 느낌이 책의 마지막장을 읽을 때 까지도 와 닿았다. 


무엇보다도 구성이 좋았다. 맨 위에는 제목이 있고  바로 아래엔 책에 대한 기본사항 작가와 책제목, 출판사, 출판연도를 적어주었고 특히나 출판연도까지 있어서 책의 정보 등과 이해에 더 도움이 될 거 같다. 또 바로 아래에 책에 대한 간략한 소개가 요약되어 있어서 독서토론용으로 책을 선택하는데 시간이 없으면서 빠른정보가 필요한 사람은 실질적 도움이 될 거 같다. 그 아래엔 저자의 책에 대한 일화 등을 적어 주었고 아래로 책의 내용이나 중요한 부분을 소개해주었다. 맨 마지막부분엔 독서토론에 필요한 질문이 다섯개 정도씩 적어있다. 독서토론용으로 질문의 내용을 조금 바꾸거나 삽입 또는 수정해서 바로 사용해도 될 거 같다.


한 가지 단점을 찾자면 책에 대한 요약부분이 핑크색 글씨에 가늘게 되어 있어서 잘 안 보여서 안경을 쓰고 봐야했다. 그리고 책 80권을 다 읽어본 게 아니라서 내용을 이해하거나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아쉬웠다. 읽은 책이라 하더라도 최근에 읽은 게 아닌 것은 자세한 기억이 없어서 책이 조금 얇아지더라도 분리해서 두 권으로 했더라면 하는 생각도 해봤다.


뽑아본 문장들


상황이 힘들고 어려울 때 피하거나 변명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인정하는 것 '내려놓음' 나와 타인을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받아들이고 사랑하며 흘러가는 마음 그대로를 고요히 들여다보고 말을 걸어보면 내 안의 위로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요?   -p37


자신에게 맞지않는 옷에 자신을 맞추는 적응의 과정에서 '인간 흉내쟁이'가 되었을 뿐입니다. 작가 카프카는 우리에게 던지는 메세지가 이것 아닐까요? 우리도 억압적인 현실에 나를 맞추어 적응해 가면서 사실은 '나'를 잃어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책은 우리를 돌아보게 합니다.  -p102


'나는 무엇에서 즐거움을 얻는 사람인가?라는 질문은 내가 무엇을 지향하는 사람인지를 알려줍니다. '나는 무슨 일을 하며 살아야 할까?'라는 질문에 대답하려면 내 즐거움의 원천인 놀이시간을 들여다 보아야 합니다. -정재승 <열두발자국> 어크로스 -p124 '      -p151


'외로움부(Ministry of Loneliness) 영국에는 '외로움부'가 있다. '외로움'이 개인적인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이며 정책적으로 다루어져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외로움은 타인과의 관계, 자기 자신과의 관계에서 소통의 부재로 인해 느끼게 되는 감정이다.  -p336


어려운 책은 여럿이 함께 읽고 나누면 행간을 읽어낼 수 있고, 또 다양한 관점에서 생각을 공유하며 나눌 수 있다. 책은 소통의 도구다. 책을 통해 서로의 삶과 철학을 자연스럽게 나누게 된다.  -p330


시대가 빠르게 변함에 따라 정보와 소통의 매체가 디지털과 AI인공지능으로 변해간다. 미래사회에서 주도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는 중요할 것이며, 그 핵삼 바탕은 꾸준하고 능동적인 독서이다. -p359


이 책을 보면서 궁금해지고 읽어보고 싶었던 책은 <향복한 이기주의자> <원하는 것이 있다면 감정을 흔들어라> <열두발자국> <빨간 피터의 고백> <소크라테스 익스프레스> <이반 일리치의 죽음> 의 6권 이었다.



<독서의 쓸모> 책은 독서토론을 하는 분들이 보면 더욱 유용하게 활용할 거 같습니다.


서평신청으로 미다스북스에서 제공받아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